- 나각
나각은 관악기의 하나로 "나" 또는 "소라"라고도 한다.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는 고려 의종 때 각 종 위장이나 노부의 수레 뒤에 따르던 취라군이 이 악기를 불었다는 <고려사>의 기록이다. 만드 는 법은 바다에서 사는 큰소라를 잡아 살을 꺼내고, 꽁무니 뾰족한 끝부분을 갈아 취구를 만들어 끼운다. 일정한 크기는 없으며 소라의 원형 그대로 쓰기도 하고, 천으로 거죽을 씌우기도 하며 속 에 붉은 칠을 하여 모양을 내어 치레하기도 한다. 이 악기는 낮은 외마디 소리이지만 웅장하고 우렁찬 지속음을 낸다.
연주법은 나발과 같이 윗입술과 아랫입술 사이로 김을 불어 넣어 입술의 진동으로 "뿌우 - "하고 소리내는데, 음높이는 소라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궁중연례와 군악에 사용되었고, 종묘제례악 중 <정대업>의 일무에도 사용되었다. 지금은 장고,북,징,태평소,나발,자바라 등과 함께 대취타에 편성되어 연주되고 있 는데, 특히 나 발과는 엇갈리며 번갈아 연주된다.
나각의 음정은 소라 껍질의 크기에 따라 모두 다르며, 연주 방법에 의하여 하나의 나각에서 음 정이 다른 두세 가지의 소리를 낼 수 있다.
- 나발
나발은 관악기의 하나로 우리나라에 언제 들어왔는지 그 연대는 확실하게 알 수 없으나 태평소,북,장고,징,나각,자바라 등과 함께 대취타 연주에 쓰인 것으로 보아 그 당시 다른 악기와 함께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
나팔로 읽지 않고 나발이라고 하며 쇠붙이로 긴 대롱 같이 만들되 115cm 정도의 길이에 취구쪽은 가늘고, 끝부분으로 가면서 차차 굵어지며 맨 끝은 나팔꽃모양으로 퍼지게 만들었다.
두 도막 또는 세 도막으로 구분 된 관을 불지 않을 때에는 아래로 밀어넣어 짧게 꽂아두기도 한다. 지공이 없어 단음의 배음에 해당되는 간단한 몇가지 소리가 나기는 하지만, 보통 낮은 음 하나만을 길게 뻗어낸다. 금속성의 우렁차고 호쾌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 악기로서 취구에 댄 입술로 음의 강약과 고저를 조절한다. 군중에서 신호하는 데 쓰였으며, 대취타와 농악 등에도 사용되는데, 특히 대취타에서 나각과는 엇갈리며 번갈아 연주된다.
나발은 관의 길이에 따라 음정이 모두 다르다. 연주법에 따라서는 한 악기로 4~5개의 음정이 다른 음을 연주할 수 있는데, 악기마다 그 음높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악보에 표기해서 연주를 요구할 수 없으며 고정된 나발의 음을 밝힐 수가 없다.
- 단소
단소는 길이가 39cm 정도, 굵기가 2cm 정도 되는 세로로 내려 부는 악기(縱笛)이다. 이 악기가 어느 때부터 우리나라에서 연주되기 시작했는지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단소의 지공(指孔)은 뒤에 하나, 앞에 네 개가 있다. 그러나 제일 아랫 구멍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단소는 이렇게 풍류방에서 다른 악기와 같이 현악영산회상을 연주하거나 가곡?가사?시조를 반주하는 중요한 악기다. 또 단소는 합주 뿐 만 아니라 생황(笙黃)이나 양금, 또는 가야금이나 거문고 같은 악기와 병주(竝奏)하기도 한다. 이런 현악기와의 연주에서 단소는 현악기와 달리 지속음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단소는 이밖에도 그 청아한 음색 때문에 독주 악기로서도 널리 애용되어 왔다. 단소는 합주에서 E 짜리를 불지만 이것은 단소로서도 상당히 높은 것이므로 독주 때는 이보다 낮은 단소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단소는 한국 전통음악의 기본음 E (黃種)으로 부터 시작되지 않고 A (仲呂)을 기음(基音)으로 하여 음계가 구성되기 때문에 E를 기음으로 한 음악을 연주하는데 필요한 C음(南呂)은 낼 수없다. 따라서 밑에서 셋째 구멍을 반만 열어서 소리를 내기 때문에 웬만큼 익숙하지 않고는 정확한 연주를 하기가 어렵다. 대나무는 두 종류를 쓰는데 노란색의 황죽(黃竹)과 거무스름한 오죽(烏竹)이다.오죽은 보기는 좋으나 조금 약해서 쪼개지기 쉬우므로 취급이 어렵고 황죽은 단단하여 소리도 좋고 비교적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요즈음은 좋은 황죽을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요즈음의 단소는 대나무 외에도 금형(金型)을 떠서 PVC로 대량 생산 하기도 하는데 대나무 단소보다 더 정밀하게 만들 수 있다. PVC 단소는 색깔이나 모양도 대나무 비슷하게 할 수 있으며 잘 갈라지지 않아 간수하기가 쉽다. 소리도 대나무 단소와 크게 다르지 않고 값도 싸서 일반 보급에 효과적이다.
- 당적
당적은 당악계 음악에 사용하던 횡적이다.
당적에 관한 가장 오랜 기록은 고려 문종 30년이다.
"문종 30년에 대악관현방을 정하다. 미일과 십석에는 당무업겸창사업사 일인, 생업사 일인, 당무업사 교위일인이고,
칠석에는 비파업사 교위이고, 이과 팔석에는 장고업사 이인, 당적업사 이인, 향당비파업사 명일인, 방향업사 교위 일인, 필엽업사 일인, 가무박업사 일인, 중금업사 일인이다." 즉, 당적은 생, 당비파, 방향, 박과 아울러 이미 문종시대에 사용되어 온 것임을 알 것이다. 고려사 악지에 의하면 당적은 팔공이고 악학궤범에도 " 당적의 제도는 해가 묵은 황죽으로 만들며 모두 팔공이다. " 라고 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해와 안공법까지 있어 고려시대의 당적의 제도를 살필 수 있고, 또 현재 당적과의 비교로서 그 달라진 점도 알 수 있다.
- 대금
"신라 신문왕 때, 동해에 작은 산이 있어 그 모양이 자라 머리와 같고 그 산위에 대나무가 있었는데, 낮이면 대나무가 둘이 되고 밤이면 하나가 되매 임금이 이를 베어오게 하여 젓대를 만들게 하고 이름을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하였다"
이글은 <삼국사기>의 <악지>(樂志)에 실려 있는 것이다. "대나무를 베어와 그 대나무로 젓대를 만들어 월성 천존고(月城 天尊庫)에 간직하였는데 이 젓대를 불면 적군이 물러가고 병이 낫고, 가뭄에 비가 오고, 장마가 걷히고 바람과 파도가 자므로 이를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이름하고 국보로 삼았다"이 글은 <삼국유사>에 전하는 것이지만, 두 가지가 다 믿기 어려운 내용이라 생각된다. 일본에 전한 신라 음악에는 적(笛)이 없었고 오히려 5-6세기경이 대금은 고구려에서 중요한 관악기로 사용되었던 것 같고 그것이 일본에 전래되어 고려적(高麗笛)으로 불린 것으로 생각된다. 대금(大芩)은 따로 적 또는 젓대라고도 불리운다. 내리 부는 소(簫)와 달리옆으로 부는 악기인데, 국악 합주에서 피리와 함께 가장 중요한 관악기이며 어떤음악 형태에도 편성되는 악기이다. 편종(編鍾), 편경(編鏡)이 포함되지 아니하는 합주에서는 이 대금이 기본음을 내게 된다. 그러면 모든 악기가 여기에 조율을 하여 연주하게 되는데 옛부터의 습관이다. 이것은 마치 서양음악 합주에서 오보에와 같은 역할인 것이다. 대금은 서양악기의 플루트와 같이 대나무의 한쪽(왼쪽) 끝은 마디로 막히도록 되어있는데 취구(吹口)와 6개의 지공(指孔)이 있다. 취구와 지공 사이에 또 하나의 구멍을 뚫고 갈대 속에서 체취한 청(淸)을 아교로 붙여분다. 이 청(淸)은 옛날 습자지처럼 흰빛의 얇은 막인데 열처리를 한 것이다.
대금은 외경이 상당히 크고 지공(指孔)과 지공 사이가 넓어 손이 작은 사람은 다 막아지지를 않는다. 또한 부는 힘이 좋아야 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배우기가 좀 어려우나 그 소리는 아랫소리에서는 부드럽고 깊은 맛이 있고 아름다우며, 윗 소리는 갈수록 갈대청의 진동이 커져 아주 장쾌한 소리가 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 왔다. 단소(短簫)로 득음(得音)한 후에 대금(大芩)을 배우면 비교적 쉬워지므로 단소를 배우는 젊은이들은 한번 도전해 볼만한 악기이다. 대금은 예전에는 오래된 황죽(黃竹)을 썼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대의 양쪽에 홈(골)이 나있는 쌍골죽을 쓴다. 이는 살이 두텁고 단단하며 맑고 야무진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또 쌍골죽은 보통 대 보다도 모양이 좋으나 구하기가 어려운 것이 흠이다. 이는 쌍골죽은 일종의 돌연변이 비슷한 말하자면 병신 대이므로 흔치 않기때문이다. 재미있는 것은 이들 악기는 부는 사람이 직접 자기 손으로 만든다는 사실이다. 대마디가 5개 정도가 되는 밑둥 부분의 대를 잘라 숯불을 피우고 그 위에 쬐면 진(樹脂)이 흐르는데 이것을 헝겊으로 잘 닦아내면 푸른 빛의 대는 노리끼리하게 변한다. 이것을 다시 소금에 절였다가 구멍을 뚫게 된다. 대나무의 살의 두꺼움이나 내경에 따라 조절하기는 하지만 대금과 대금을 맞대어 놓고 눈대중으로 표시하고 취구(吹口)부터 파서 기본음을 조정한다. 그리고 나머지 지공(指孔)을 파는데 제일 끝구멍 밑에(오른쪽 끝부분) 칠성공(七星孔)이라고 하는 1-2개의 구멍을 파서 음정을 조절한다. 그러므로 각 악기가 똑같은 음이 나기가 매우 어렵다. 대금은 정악 대금과 산조 대금이 있는데 정악 대금은 글자 그대로 아악 즉 궁중 음악이나 정악(풍류,가곡,가사,시조 따위)에 사용되고 산조 대금은 대금 산조나 민속무용반주 등에 사용된다. 대금으로 부는 아악곡은 대금 정악이라고 해서 지난 1968년 12월에 중요 무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고 김성진(金星振,68)은 예능 보유자가 되었다. 김성진은 1931년 이왕직 아악부원 양성소 제4기로 졸업한 이래 53년간이나 대금을 불어 온 대금 주자이다. 현재는 대금 정악에 김응서(국립국악원 부악장),이상규(한양대 조교수), 조성래(국립국악원 연주원), 홍종진(이대 조교수) 등 네사람의 이수자가 생겼다. 이들 외의 중진 대금 연주가들도 대부분 김성진의 제자들이다. 정악 대금을 위한 악보로는 <대금정악>(김기수,이상룡 편저) <대금교본>(김호성편)등이 있다. 대금 산조는 1920년대에 박종기와 강백천(姜白川)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고 한다. 박종기는 한주환(韓周煥), 이생강(李生剛)과 서용석(徐龍錫) 등에게 전해졌고 강백천은 한범수(韓範洙), 김동식(金東植)에게 이어졌다. 한범수는 다시 이상룡, 신용문, 홍종진에게 전수했다. 대금은 아랫 입술로 취구를 거의 다 막고 취구안팎으로 김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낸다. 그때 입술을 조절하여 구멍을 막지 않고도 4도 정도의 음정을 낼 수 있다. 대금의 소리는 유연하면서도 장쾌하며 호소력이 강하면서도 흥이 나고 힘차다. 서양악기에서 찾아볼 수 없는 유연한 음은 현대인의 잠자는 혼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하다 하겠다.
- 생활
이 종류의 악기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있어 왔다.
고구려악에도 생의 이름이 보이고, 우는 백제때 쓰였고, 또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이룩된 봉덕사 범종에도 우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고려사 악지 당악조에는 생이 소개되어 있지 않지만 문종 30년에 정한 대악관현방에 생업사가 소개되어 있고, 예종 9년 6월에 송의 휘종이 보내 준 신악기중에는 포생 십찬이 끼여있고 동십일년 육월에 들어 온 대성아악의 등가 악기중에는 소생 중정성 각이찬, 화생 중정성 명이찬, 헌가 악기중에는 소생 중정성 각이십일찬, 우생 중정성 각십오찬이 포함되어 있다.
세종 갑진년(1424)에는 악기람에서 탁성, 중성,청성 각십이율로 된 삼십육황의 생를 만들었으나, 성공하지 못하여 결국 중국에서 들여 온 심칠황의 중성의 생을 탁성으로 고친 우를 만들었다. 이 삼십육황의 생은 비단 우리 나라에서만 성공하지 못한 것이 아니고, 소의 악공들도 불지 못하던 것이라고 한다.
이와같이 생황이 들어 온 역사는 오래이지만 그 만드는 법이 어려워서 제 구실을 하지 못할 뿐만 아나라 부는 법도 서투른 형편이었다.
그래서, 항상 사신에 전악을 따라 가게 하며 중국의 생황을 사 오고 아울러 그 부는 법을 배워 오게 했던 것이다.
그런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현종 9년에는 동지사 행차시에 전례에 따라 생일부를 사 오게 하였고 영조 18년에도 악공을 연경에 따라 가게 하여 생황을 배우고 사 오게 하였고, 정조 때에도 연경에서 사 들인 일이 있다. 이러한 일은 역대실록 그밖의 전적에서 산견할 수 있다. 영조 때 중국에 왕래한 악공에는 황세대, 신득린 등의 이름이 보인다. 그 뒤로도 생황의 만드는 법과 부는 법에 어두워서 현재에 이르기까지도 이 악기는 만드는 이가 없고, 연주법도 바르지 못하다.
- 소금
가로 부는 관악기의 하나로 우리나라 고유의 가로 부는 적 중 가장 큰 것을 대금, 중간 크기를 중금이라 하고, 제일 작은 것을 소금이라 한다. 신라시대에는 소금이 대금. 중금과 함께 삼죽으로 불렸다. 신라의 소금은 중국의 당적과 함께 고려시대를 통하여 전해왔고, 조선조 성종 24년 (1493)의 <악학궤범>에도 나타난다. <악학궤범> 에는 소금의 구조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이 없이 소금과 대금이 악기의 제도에 있어서 같다고만 하였으므로 당시의 대금과 같이 취공1, 청공1, 지공6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소금은 그와 흡사한 음역 및 음색을 지녔던 당적에 의하여 차츰 밀려난 것 같다. 이미 성종시대에도 <악학궤범> 의 속악진설도설에 의하면 소금은 당시의 종묘영녕전 헌가에만 편성되고 있는데 반하여, 당적은 모든 속악진설에 언제나 편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악학궤범> 이후에 당적은 문헌에 계속 나타나지만, 소금은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조선조 후기의 각종 의궤와 1930년대에 이왕직아악부에서 편찬된 <아악생교과철> 의 악기편에도 당적만 나올 뿐, 소금은 빠져 있다. 즉, 소금은 <악학궤범>이후 차음 사용되지 않은듯이 보인다. 그러나 이왕직 아악부시대에도 당적은 그 음역과 음정이 당악계의 악곡을 연주하는 데만 적합했을 뿐 향악계의 악곡에는 맞지 않아서 불편한 점이 많았다. 가장 곤란했던 것은 당적의 최저음이 당악계의 황종(즉 향악의 C에 해당함)이므로 향악계 음악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임종(즉)을 낼 수 없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 이왕직 아악부시대의 악사들은 당적의 제 1공을 임시로 막아서 사용하지 않는 반면에 원래 불용공인 제 7공을 이용하여 임종을 내는 등 편법을 썼으며, 때로는 연주자들이 향악계의 음역과 음정에 맞게 6지공의 횡적을 당적과 별도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일도 있었다. 이 향악계의 음악에 적합한 횡적은 1956년 3월 부터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의 교육용으로 본격적으로 제작되고 현행과 같이 7지공으로 보완되면서 소금이라는 명칭도 부활하게 된 것이다. 물론 그 실체는 예전 소금과도 다르고 당적과도 다르다. 그 뒤 소금의 음색이 당적과 흡사하고 그 음역은 넓어서 당적의 음역까지 다 포함하기 때문에 당적으로 연주할 악곡까지도 소금으로 연주하게 되어, 최근에는 오히려 당적이 쓰이지 않는 경향이다. 그러나 당악계의 악곡을 소금으로 연주할 경우, 음역은 문제가 없으나 음정은 특별히 조절해야 한다. 현행 소금은 대금과 달리 청공은 없고 지공이 6.7 개 가 있으며, 제 7공 다음에 사용하지 않는 허공이 하나 하단에 있어 모두 9공이다. 지공은 지름 약 0.4cm의 원형이며, 취구는 가로 약 1.6cm, 세로 약 1.4cm의 타원형으로 되었다. 취구에서 제1공까지의 거리는 약11cm이며, 지공과 지공사이의 간격은 제 1공에서 제 2공까지는 약 1.9cm이고 뒤로 갈수록 약 0.1cm씩 더 넓어지는 것이 통례이다. 소금의 재료로는 황죽도 무방하지만 대금과 같이 쌍골죽이 더욱 좋다. 전체 길이 및 굵기는 천연 대나무로 만드는 만큼 일정하지 않으나, 길이 40cm, 굵기 지름 2.2cm정도이며, 하단의 내경이 약 1.4cm인데 상단, 즉 취구쪽으로 갈수록 약간 좁아진다. 소금은 민속음악이나 민간정악에서는 쓰이지 않고 궁정악에서만 사용된다. 특히, <정읍>(일명 수제천). <동동>. <삼현영산회상>. <자진한잎>. <취타>. <길군악>. <길타령>. <별우조타령>등 관악 합주곡에서 중요시 되고, 관현합주곡인 <여민락>.<평조회상>등에도 편성될 수 있다. 소금은 관악기 중 가장 높고 맑은 음색을 지니고 있으며 그 소리가 도드라져 들리기 때문에 다른 관악기들이 복수로 편성되는 합주에도 흔히 단수로 편성된다. 전통적으로 소금가락의 주된 흐름은 대금과 흡사하지만 장식음이 휠씬 풍부하고 화려하게 나타난다.
- 약
아악기의 하나로서 주 시대에 이미 이 악기가 사용되었다는 기록을 옛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대의 약은 대가 아니고 갈대로 만들었기 때문에 이것을 갈약이라고 하였다.
여기 갈약은 이안씨의 악기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양음유는 토고가 목고와 동고의 전신이 듯이 갈약은 죽약의 전신이라고 말 하였다. 한편 일본의 동양음악학자 전변상웅씨는 갈약은 고대 위급의 세비, 아라비아의 네이라는 악기로 서 알렉산더 제국의 동진 이전에 중국에 온 듯하다고 했고, 아라비아나 페르시아 등 서아세아의 횡적은 무두 갈관으로 만들어졌으며,이안씨는 중국 사람이 아니라 옛적 서방에서 들어 온사람이 라고 하였는데 확실한 근거는 없다.
그런데, 고려 예종 11년 6월 송의 휘종이 보내 준 아악 가운데에는 약이 들어 있지 않고, 문무 의 무구로써 들어 왔다.
이로 보면 고려 예종 때에는 아악기로서의 약이 들어오지 않고, 육승무의 문무를 출 때 들고 추 는 무구로 들어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지금도 문묘 제향때에 연출되는 문무에 왼 손에 약을 들고 춤춘다.
- 적
단소처럼 생긴 악기에 적( )과 통소(洞簫)가 있다. 이들은 다 단소보다 내경(內經)이나 길이가 상당히 커서 길이가 54cm, 지름이 2.6cm 이상이다. 적은 {악학궤범(樂學軌範)}에 보면 문묘(文廟, 孔子廟) 제례악에 사용되는 악기로 뒤에 구멍이 하나, 앞에 5개 있다.
처음에는 적의 맨 끝은 대나무의 마디를 잘라 마디의 막힌 곳을 십자(十字)로 뚫었지만 현재는 십자공(十字孔)을 뚫지 않는다. 현재 이 악기는 문묘 제례악에 사용될 뿐 별로 쓰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중국 음악에 맞도록 C음으로 조율되어 있다.
- 중금
중금은 대금과 아울러 신라삼죽의 하나로 널리 향악에 사용되던 횡적으로서 대금과 소금의 소금의 중간에 든다. 고려 고종때 한림제유의 소찬으로 전하는 한림별곡은 시부, 서적, 명필, 명주, 화훼, 음악, 누각, 의 팔경을 읊은 노래다. 이 노래의 제육연은 다음과 같다. 아양금 문장적 종무중금 대어향 옥기향 쌍가야ㅅ고. 금선비파 종지비금 설원장고 위 과야경 긔 엇더 ㅎ니잇고 (엽) 일지홍의 빗근 적취 일지홍의 빗근 적취 위 듣고아 드러지라 이로 보면 중금은 노래의 반주
에 쓰여 왔고, 또 고려사 악지 속악조에 현금(현육) 비파(현오) 가야금(현십이) 대금(공십삼) 장고 아박(육매) 무애(위장식) 무고 비금(현이) 중금(공십삼) 소금(공칠) 박(육매) 으로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박 무애 무고와 정재의 무구의 다음에 비금,중금, 소금, 박이 소개되어 있는 점으로 보면 중금은 비금, 소금, 박과 더불어 주로 춤의 반주에 사용된 듯하다.
즉, 중금은 원래 노래와 춤 할 것 없이 널리 사용되던 악기였다고 할 것이다. 조선에 와서는 종묘제향의 헌가악에 대금, 소금과 함께 편성되었다.그러던 것이 최근에 이르러서는 대금을 배우기 전에 취법과 운지법을 익히게 하였으나, 1940년 이후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 지
지는 김을 넣는 부분은 단소와 같으나 소금(小 )과 같이 옆으로 부는 대로 만든 관악기의 하나이다. 좀 더 설명하면 소금의 취구(吹口) 부분에 단소의 맨 윗 부분을 잘라 붙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부분을 의취라고 말하는데 취는 새의 주둥이를 말하는 것으로 본래 제것이 아니라 가져다 붙인 취구(吹口)라는 뜻에서 그렇게 부른 것 같다.
지의 취구는 단소와 같이 맨 위쪽 끝이 U자로 파여 있어 단소를 부는 것과 같지만 음색은 소금보다 더 부드럽다.
지의 길이는 31cm정도로 소금보다 짧아 높은 음역의 소리가 난다. 또 손가락으로 막는 지공(指孔)의 수가 다섯개로 첫째 지공은 취구 옆에 뚫려 있고 나머지 네 개가 취구와 같은 방향으로 뚫려 있는 점이 소금과 다르다. 지의 첫째 지공은 왼손 엄지로, 둘째 지공은 왼손 식지(食指), 셋째 지공은 왼손 장지(長指), 넷째 지공은 오른손 식지, 다섯째 지공은 오른손 장지로 막는다. 그리고 오른손 소지(小指)는 지의 맨 아래 끝을 막는다. 이는 그 끝이 대의 마디 부분으로 잘라 마디 막이를 十자로 뚫어 놓았는데 5개의 지공으로는 12반음(律)과 4개의 옥타브음(淸聲)을 낼 수 가없어 미세한 음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十자공의 부분을 손가락으로 막아 여러가지로 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했다. 이 악기는 현재 문묘 제례악에만 사용되고 있으나 이 곡이 생기기 훨씬 전 삼국시대에 이미 사용되었음을 문헌을 통해 알 수 있다. 수서(隋書)와 북사(北史)는 백제에서 고(鼓)?각(角) ?공후?쟁(箏)?우?적(笛) 등과 같이 지가 사용되었음을 기록하고 있으며 통전(通典)과 신당서(新唐書)에는 고구려의 의취적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는 고구려와 백제 음악에서 사용되었으나 후대에 와서 훈(塤)과 더불어 문묘제례악에 편성되어 왔다. {시경(詩經)} 소아(小雅)에는 하인기(何人欺)라는 노래가 있는데 "형은 훈을 불고 아우는 지를 분다"고 하였다. 지금도 훈지상화라 하여 훈과지의 잘 어울림을 형제의 우의에 비교해서 표현한다. 그러나 {정조실록}에는 정조(正祖)대왕이 훈과 지의 연주를 듣고 "형제음악(兄第音樂)이라는 이름만 아름다울 뿐..."이라고 비판하였다고 한다.
- 태평소
태평소는 호적(胡笛), 새납, 날라리 라고 한다. 호적이란 호인(胡人) 즉 몽고인들의 관악기라는 뜻이고 새납은 본래 중앙 아시아 지방(Muslim)의 쑤르나(Zurna 혹은 Zorna)에서 쏘나로 또 새납으로 된 것으로 짐작된다. 그리고 날라리라는 이름은 악기 소리를 흉내낸 말이다. 태평소의 혀는 아주 작아 넓이가 5밀리, 길이가 2.5센티 정도밖에 안 되지만, 몸체는 나무로 만든 관이 점점 넓어지고 끝에는 서양의 나팔같이 벌어진 쇠붙이가 붙어 그 지름이 10센티 정도이다. 총 길이는 35센티, 그렇기 때문에 혀는 작지만 거기서 낸 소리는 관대를 지날 때 증폭되어 무척 큰 소리가 난다. 먼 동네서 농악을 할 때도 다른 소리는 안 들려도 태평소 소리는 들린다. 손가락으로 막는 구멍이나 부는 법 등은 향피리와 거의 같으나 음정이 좀 다를 뿐이다. 태평소는 고려시대 말부터 연주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군대나 공식 행렬 및 종묘제례악의 정대업 연주, 그리고 불교의식과 민간의 풍물패에서도 연주되었다. 현재는 구군악(舊軍樂), 농악, 종묘제례악 등에서 연주된다. 구군악곡 중 대취타에 연주되는 가락이 중요무형문화재 제 46호로 지정되었고 첫 번째 보유자 최인서에게 가락을 배운 정재국으로 그 전통이 이어졌다.
- 통소
퉁소는 적과 비슷하나 십자공이 없고 현대는 적과 달리 당악(唐樂)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우리나라 음악에 맞도록 개량되어 독주악기로 연주되고 있다. 조선왕조 성종때는 지공(指孔)과 취공(吹孔) 사이에 처음에는 없던 청공(淸孔)을 하나 더 뚫어 젓대처럼 갈대 청을 붙였던 것 같으나 현재 국립국악원에 전하는 통소에는 이 청공이 없다. 민속악에 쓰이는 통소는 민속악 음정에 맞도록 조율되어 있다. 악기 앞의 구멍은 네 개로 바뀌었으나 청공을 뚫어 갈대청을 붙여 분다. 통소는 적이나 단소보다는 훨씬 커서 길이가 69.5cm 정도이다.
- 피리
피리를 한문으로는 (필율)이라고 쓴다. 피리는 태평소와 함께 서양악기의 오보에 처럼 겹혀(겹서, double reed)를 가진 악기이다. 오보에와 다른 점은 피리의 혀(舌)는 넓이가 2센티, 길이가 8센티 정도로 큰 점이다.
피리의 혀는 대나무를 얇게 깎아 만드나 태평소의 것은 아주 작아 갈대를 잘라 만든다
. 피리는 향(鄕)피리, 세(細)피리, 당(唐)피리 등 세 가지가 있다. 향?당피리는 지름이 1.2-1.6센티, 길이가 25센티 정도 되는 가는 관대에 전술한 혀를 끼워 분다. 세피리는 길이는 비슷한데 상당히 가늘어 지름이 1센티도 안 된다. 뒤쪽 위에 하나 있는 구멍(指孔)은 왼손 엄지로 막고, 앞의 7개는 왼손의 식지?엄지?장지, 그리고 오른손 식지?장지?무명지?소지로 막는다. 당피리는 마디가 있는 비교적 굵은 관대(竹管)를 사용하고 향피리는 마디가 있는 해죽(海竹)을 쓰는 점이 다르다. 당피리는 중국에서 수입된 피리를 말한다. 그에 비해 향피리는 당피리가 수입되기 이전부터 있었던 우리나라의 고유 피리에 붙여진 이름이다. 향피리는 순수한 우리나라음악을 연주하는 악기이고 당피리는 중국 계통의 음악과 제례 음악에 사용된다. 세피리는 향피리의 축소형으로 시조와 가곡, 민요 등의 노래 반주, 현악기 위주의 앙상블에 사용된다. 향피리나 세피리는 순수한 향악을 연주하도록 기본음(黃)이 E에 가깝게 맞추고 당피리는 기본음이 중국 음악의 기본음인 C에 가깝게 조율되어 있다. 우리나라 악기에서 내는 음의 이름은 서양악기에서의 음과는 같지 않다. 한국악기는 악기마다 음의 이름이 다르다. 악기의 소리를 입으로 흉내내는 것을 구음법(口音法)이라고 하는데 국립음악원에서는 국악사 양성소(1955)시절부터 성악 연습을 위하여 "나?누?너?노?느"의 피리 구음법을 채택해 왔다. 그것은 지금도 국립 국악고등학교에 이어져 서양 음악의 계명창 같이 어느 조에나 이 계명이 사용되고 있다. 피리는 옛 고구려 고분인 중국 즙안현 장천 1호 벽화에 그려져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 피리는 5세기에 고구려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6세기말 중국 수나라에 소개된 고구려 음악에 피리가 포함되어 있고, 서역 국가들의 음악에 피리가 편성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피리는 중국에서 전래된 악기가 아니고, 서역 계통 악기로서 5세기 중엽 고구려에 전해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음악에서 피리는 주선율을 담당한다. 음역은 두 옥타브 정도지만 입으로 혀를 무는 정도에 따라 더 높은 음을 내기도 한다. 따라서 구멍을 떼지 않고도 같은 구멍에서 더 높은 소리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소리를 끊지 않고 이어서 여러 소리를 낸다. 이 말은 또 구멍을 막아도 제소리가 안 날 수 있다는 뜻이 되어 정확한 음정을 내기가 어렵다는 것도 의미한다. 우리나라 기악곡의 대부분이 관악곡인데 이 관악곡에 대금과 피리가 꼭 포함되어야 한다. 서양 음악에서 관악기가 필요한 선율만 연주하고 쉬는 것과 달리 이 두 악기는 다른 악기와 마찬가지로 끝까지 쉬지 않고 계속 연주해야 된다. 그러니 50분이 넘는 영산회상, 1시간 반 정도 걸리는 종묘제례악, 여민락 등 대곡 연주를 감당하려면 무수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훈
훈(塤)은 훈(壎)이라고도 쓰며 팔음(八音)중 토부(土部)에 속한다. 우리나라에 전하고 있는 훈은 손에 들고 무게를 다는 손저울의 추(錘)처럼 생겼고 제일 넓은 밑바닥 지름이 7.5cm정도에 높이가 9cm 정도의 것이다. 훈이 우리나라에 소개된 것은 고려 예종(睿宗) 11년으로 송(送)나라의 대성아악(大晟雅樂)에 훈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후 조선왕조 세종(世宗) 때에 개조(改造)한 훈히 현재까지 전해 온다. 중국에 전하는 훈은 추 모양이 외에 계란 같이 갸름한 것, 공처럼 둥근 것, 큰 것, 작은 것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런 악기는 중국 이외에 멕시코, 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토기시대의 원시 악기로 발견되기도 한다. 고대 중국에는 훈 말고도 딸랑이 손 종(鍾) 등 여러가지 흔들어 소리를 내는 것과 지공(指孔)이 없이 취구(吹口)만 있는 둥근 호각 같은 것들이 있다. 훈은 뒤쪽에 두개의 지공이 있고 앞쪽에 세개의 지공이 있다. 뒤 쪽의 것은 양손엄지로 막고앞쪽엔 양손의 식지(食指)와 왼손 장지(長指)로 막는다. 이 다섯 개의구멍으로 C에서 시사 하여 12반음을 내야 하기 때문에 반 구멍을 막든지 입술로 조절해야 한다. 부는 방법이 병을 부는 것과 같고 음색도 비숫한 데가 있다. 병 소리가투명한 반면 훈의 소리는 좀 더 부드럽고 낮고 어두운 편이다. 훈의 음색과 음의 높이는 진흙의 종류와 두께, 속의 넓고 좁은 정도, 굽는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와같이 훈은 같은 크기로 만들어도 음이 같지 않기 때문에 옛부터 많은 양을 만즐어 그 중 음이 맞는 것을 골라 사용해 왔다. 훈은 주로 제례악(祭禮樂)에 사용되어 왔는데 그 이유 때문인지 우리나라의 훈이 검은 색을 띠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현악기
- 가야금
영토 확장에 여념이 없던 신라 진흥왕(AD540-576)에게 어느날 우륵이라는 사람이 찾아 왔다. 그는, 자신이 가야국 사람으로 "고" 라는 12줄짜리 현악기 연주자 임을 밝히고 가야국이 망해가므로 음악도 함께 없어질까봐 왕을 찾아 왔다고 사연을 아뢰었다. 진흥왕은 우륵에게 "고"의 연주를 청해 듣고 그 음악을 대악(大樂)으로 삼을 것을 결정했다. 이것을 지켜본 신하들은 망국의 음악을 받아들이는 건 옳지 않다고 반대했다. 그러나 왕은 "가야국이 망한 것은 가실왕이 음란했기 때문이지 음악 때문이 아니다"라고 하며 신하들의 반대를 물리쳤다.
그리고 우륵을 국원(國原, 지금의 충주)에 자리잡게 하고 계고(階古),법지(法知),만덕(滿德)에게 악기 연주와 노래 및 춤을 각각 가르치게 했다. 이로부터 이 악기는 가야국 가실왕이 만들었다고 하여 가야고 또는 가야금이라고 불리었는데 이는 신라에 있던 "고"라는 악기와 구별하기 위해서였다. 가야금은 원래 가실왕이 중국의 쟁(箏)을 본받아 만든 것이다. 또한 진흥왕 앞에서 우륵이 연주한 12곡(하가라도,상가라도,보기,달기,사물 등)도 가실왕이 명령하여 직접 우륵이 작곡한 것이다. 이상의 내용은 <삼국사기>의 <악지(樂志)>에 나오는 내용들이다. 가야금은 일본에도 전해져 지금도 나라(奈良)의 쇼소인(正倉院) 박물관에 "신라금"으로 보관되고 있다. 쟁과 고토(琴)가 중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악기라면 가야금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현악기이다. 현재 가야금은 여러단체의 무료 국악 강습회마다 단소와 함께 가장 인기있는 종목이다.
가야금의 울림통은 오동나무이고 12개의 현은 명주실로 만든다. 현을 잡아 매는 나무괘는 기러기발처럼 생겼다고 해서 안족(雁足)이라 부른다. 일본 쇼소인에 있는 신라금은 경주 지방에서 출토되는 토우(土偶)나 항아리 조각 등에서 발견되는 가야금의 형태와 비슷하다. 그것들은 또한 현재의 풍류 가야금인 법금(法琴)과 같다. 이 가야금은 울림통의 뒷부분을 파고 따로 판을 대지 않았고 줄 사이가 넓다. 따라서 느린음악(音樂)을 연주하기에 적당하다. 근대에는 줄 사이를 좁히기 위해 가야금을 축소하여 만든다. 그래야만 민요와 산조를 연주하기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 가야금을 일명 산조 가야금이라고 부른다. 원래 전해오는 가야금은 풍류 가야금(法琴)이라 불러 산조 가야금과 구별한다. 법금은 끝부분이 양의 귀 같이 삐죽 나와 있다고 해서 양이두(羊耳頭)라고 하고 산조 가야금은 새의 꼬리 같다 하여 봉미(鳳尾)라고 한다. 일부에서는 이런 구분을 못마땅하게 생각해 "가야금"이라고 통일해 부르길 주장한다. 그러나 바이올린과 비올라가 음색이 달라 구분하듯 꼭 나무랄 필요는 없을 듯하다. 가야금은 맨 손가락으로 타는데 왼손은 안쪽 뒷편 줄 위에 놓고 줄을 흔들고 누르며 오른손은 줄을 뜯거나 밀고 퉁겨서 소리 낸다. 산조 가야금은 정악을 연주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구분해서 사용한다. 왜냐하면 정악과 산조의 조율법 및 수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대개 정악을 익힌 후에 산조를 익히는 것이 보통이다. 가야금은 정악에서는 관현악곡과 가곡 반주에, 민속악에서는 시나위, 민요반주에 사용되는데 산조가 생긴 뒤로는 독주 악기로 각광을 받았다. 음색은 거문고가 굵고깊은 소리임에 반해 밝고 가벼워 여성적이다. 가야금 산조의 명인은 김윤덕,성금연,김죽파,함동정월 선생 등이 있다. 이 외에 195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쇠줄을 사용한 철 가야금이 있는데 아름다운 소리 때문에 무용반주에 연주된다. 이 밖에 1987년에 작곡가 이성천(李成千)교수가 만든 21현 짜리 가야금도 있으나 아직 일반화 되진 않고 있다. 현재 악기 제작은 이영수, 최태진, 고흥곤, 최동식 등 10여명이 가내 수공업적 방법으로 생산해 내고 있다.
- 거문고
"진(晋)나라 사람이 고구려에 칠현금(七絃琴)을 가져왔으나 그 악기를 탈 줄 아는 사람이 없어 나라 전체에 방문(榜文)을 붙이고 칠현금 연주자를 찾았으나 없으므로 당시의 재상이던 왕산악(王山岳)이 그 본 모양을 그대로 두고 다시 다른 악기를 만들어 일백여곡을 작곡하여 연주하매 검은 학(鶴)이 날라와 춤을 추었으므로 현학금(玄鶴琴)이라 했는데 후에 현금(玄琴)이라고 하였다" 이상은 <삼국사기> 권 32에 있는 거문고에 관한 기록이다. 그러나 이는 믿기 어렵다.
거문고나 가야고의 "고"는 현악기(琴)라는 뜻으로 우리 말이다. 그래서 가야금을 가야고로 읽는 사람이 있다.국어학자 이탁(李鐸)은 그의 저서<국어학 논고>에서 고구려라는 이름 중 고(高)만이 나라 이름이고 구려(句麗)는 나라를 뜻하는 것인데 "高"를 감이라고 읽는다고 했다. 따라서 고구려금은 감고이고 이 감고가 거문고가 되었다는 것이다. 일본에서 고구려악을 "고마가꾸"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매우 신빙성 있는 해석이라 하겠다. 이 거문고의 원형으로 보이는 악기가 4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고구려 고분(古墳)벽화의 주악도(奏樂圖)에서 발견되었다. 이 그림에서는 줄이 여섯이 아니고 네줄이고, 괘가 16개가 아니고 열일곱개로서 조금 다르지만 악기를 무릎 위에 놓고 손에 술대를 쥐고 연주하는 모습으로 보아 거문고의 원형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거문고는 7C 말경 신라에 전해져 나라의 보물 창고에 보관되었지만 그 후 신라에 의해서 면면히 전승되어온 것을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거문고는 산조 가야금과 같이 오동나무 몸체 뒤에 단단한 나무로 뒷판을 댄 울림통을 갖고 있다. 몸체에는 윗 쪽에서 아랫 쪽으로 가로 10cm 정도, 높이는 아주 낮은 것부터 6cm까지 되는 넓적한 16개의 괘를 세워 붙였다. 거문고의 길이는 160cm가 넘는 것이 보통이다. 해죽(海竹)으로 만든 술대라고 하는 가는 대나무를 오른손 식지와 장지(長指) 사이에 끼고 엄지로 버티어 내려치거나 뜯어 연주한다. 이 때 술대가 부딪치는 부분에 부드러운 가죽을 입혀 잡음을 줄인다. 오른손을 들어 위에서 내려 치는 것을 대점(大点)이라고 해서 액센트를 주는 것이고, 오른손을 몸체에 댄 채로 뜯거나 하는 것을 소점(小点)이라고 한다. 거문고는 처음 배울 때부터 대점과 소점을 구분해서 배우므로 연주에서 강약의 구별을 표현하기가 매우 쉽다.
거문고는 여섯개의 명주실로된 줄이 있는데 그 줄 마다 이름이 있는 것이 가야금과 조금 다르다. 연주자 쪽의 줄에서부터 첫째 줄을 문현(文絃)이라 하고 둘째 줄은 유현(遊絃), 자현(子絃), 셋째 줄은 대현(大絃), 네째 줄은 괘상청, 다섯째 줄은 괘하청 혹은 기괘청, 여섯째 줄은 무현(武絃)이라 일컫는다. 둘째, 셋째, 네째 줄은 제일 높은 괘(제1괘) 위에 버텨져 모든 괘 위를 지나고 있다. 그러므로 그 괘 위를 줄과 함께 살짝 눌러 밀면 음정이 높아진다. 또한 농현(弄絃)은 누른 손가락의 전진 후퇴를 함으로써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첫째,다섯째, 여섯째줄은 안족 위에 버티어져 있으며 농현은 하지 않고 그냥 소리만 낼 뿐이다. 제일 많이 사용하는 줄은 둘째와 세째 줄인데 둘째 줄은 유현(遊絃)이라고 해서 가늘고, 세째줄은 대현(大絃)이라고 하며 상당히 굵어서 소리가 낮으며 유현과 대칭되어 소리에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거문고는 옛부터 학문을 닦는 선비들이 타는 것으로 악기 중에 으뜸으로 쳤으며 이러한 전통에서인지 현재도 거문고로는 민요나 무용 반주 등을 하지 않는다. 가야금이 맑고 가벼운 소리임에 반해 거문고는 낮고 굵은 소리가 난다. 술대를 쥐는 부분과 농현하는 손가락 끝에 굳은살이 박히지만 남성적인 매력을 한껏 나타내는 악기이다. 거문고 산조를 타는 것을 본 사람은 우리 음악이 힘이 없다고 말하지 못할 만큼 소매 바람이 날 정도로 손을 높이며 내려치는 소리가 힘이 넘친다. 국악에 관한 고악보가 거의 다 거문고 악보이고 양금 악보가 조금 있으며 다른 악기는 순전히 구전(口傳)에 의한 것이다. 지금도 국악이론 전공자는 고악보 해독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거문고는 다른 악기보다 전통을 중요시한다고 하겠다. 거문고는 현악 위주의 악곡에서는 거문고가 앙상블을 이끌어 가고 있다. 특히 가곡반주에서는 절대로 빠지지 않으며 모든 악기가 없으면 거문고 하나만이라도 반주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 국립국악원 전신인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에서도 학과 공부를 제일 잘하는 순서대로 거문고를 학습했다고 하니 거문고 주자(奏者)로서의 자부심이 어떠했는가를 짐작할 수 있겠다. 거문고는 음역도 넓어 세 옥타브를 낼 수 있으며 전조(轉調)하기가 관악기보다는 물론, 가야금보다도 수월하다. 한국 악기는 모두가 구음(口音)이라고 해서 입으로 그 흉내 내는 법이 있는데 음에 따라 당, 둥, 동, 징, 등, 덩, 흥, 청하고 내는 거문고 구음은 그 자체로도 구수하고 화평한 훌륭한 노래가 된다.
- 금
칠현의 금이라는 뜻에서 칠현금이라 하고 휘를 박은 것을 휘금이라 한다. 금과 슬은 중국 고대 악기중의 하나다. 순 때에는 이미 오현의 금이 있었고, 주나라 문왕과 무왕이 각각 문현과 무현을 한 줄씩 더 하여 칠현의 금이 되었다고 한다. 한국의 삼국사기에 진나라 사람이 칠현금을 고구려에 보냈다는 기록외에는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 찾아볼 수 없다.
고려 예종 십일년에 송에서 들어 온 대성아악에는 등가에 쓰이는 일현, 삼현, 오현, 칠현, 구현의 금이 각각 이면이 있고 헌가에 쓰이는 일현 오면, 삼현 십삼현, 오현 십삼면, 칠현 십육면, 구현 십육면이 포함되어 있다. 금은 슬과 아울러 아악의 등가에 편성되었고, 조선 초기가지 종묘, 풍운뢰우, 선농, 선찬, 우사, 문선왕의 등가에 쓰였다. 현재는 공자를 모신 문묘(문선왕묘)의 등가에만 사용된다. 이와같이 금은 중국 계통의 아악에 사용되던 악기이다.
한편 이 금의 음악은 예로부터 통속적이 아니고 사대부에 의하여 간사함을 버리고 마음을 바로잡기 위한 수양으로써 연주되었다. 이 점은 중국이나 한국이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조선 말엽에 와서 쇠미하였고, "휘금가보"를 교집한 수헌 고 윤용구를 마지막으로 금의 연주법은 끊어지고 말았다. 지금도 봄 가을로 모시는 문묘제향의 등가에 금이 편성되기는 하나 그것은 형식에 지나지 않고 실제 연주는 불가능하다.
- 당비파
비파는 원래 호중에서 말 위에서 연주하던 것으로 밖으로 내 타면 비요 안으로 디 려 타면 파라 한 까닭에 비파라 이름하였고, 풍속통에서도 그 일어난 바를 모르겠다고 한 바와 같이 이는 중국 본래의 악기가 아니며, 그 이름도 서방 말을 한자로 옮긴 것이라는 것이 공통된 학설이다. 우리 나라에 당비파에 대한 오랜 문헌은 고구려 식화지 문종 삼십년조에 당비파사가 일인 있었다는 기록이라 하겠으나 신문왕 2년에 완성되었다는 감은사유지에서 발굴된 탑형기단상과 효공왕 8년(772) 문경 봉암사의 지증대사 죽조탑신 등에 당비파(곡경)가 보인다.
이것이 당비파라면 신라통일 시대 전후에 신라에 소개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당비파는 고려를 통하여 주로 당악에만 사용되어 왔으나 이조에 들어와서는 향악곡도 이 악기로 타게 되었다. 세종 때는 어전례연의 향악에 당비파가 편성되었고, 악학궤범 권 7 당비파조에는 중국식 조현법인 상조, 하조 이외에 평조와 계면조의 조현 도해와 아울러 당악과 향악의 탄법의 설명이 있고, 안상의 금합자보에는 당비파보로서 만대엽보가 전해 온다.
더우기 성종 때에는 영인은 물론 사서에 이르기까지 음악을 배울 때는 반드시 당비파를 먼저 배웠고, 악공 취재 때에도 당비파를 과시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널리 즐겨 타던 당비파가 지금은 그 악기만 전할 뿐으로 쓰이지 않게 되었다
- 대공후 / 소공후
하프의 제3종에 속한다. 수서에 의하면 백제악에는 공후가 쓰였다. 백제에서 전해 받은 일본에서는 이것을 백제금이라 일컬었다. 지금도 일본 내량 정창원에는 그 당시의 공후가 두 개 보존되고 있는데, 23현이다. 굽은 공명통이 있고, 그 아래는 곧으며, 그 중간에 횡가가 있어 이 공명통과 횡가 사이에 23현 또는 13현을 얹는다. 하주를 허리에 꽂고 두 손으로 탄다.
서기 714년(신라 성덕왕 13년)에 주조된 강원도 평창군 상원사에 있는 법종에는 이 공후와 우가 부각되어 있는데, 그것은 소공후에 속하며 두 손으로 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공후에 대한 가장 오랜 기록은 고금주에 나오는 공후인의 설화가 있기는 하나 그대로 받아 들이기는 어렵다. 현재 국립국악원에 있는 이 악기는 수공후와 함께 사들인 것이다.
- 대쟁
보통 쟁은 십삼현으로 되었는데, 대쟁은 십오현으로 되어 있다. 고려 예종 구년 유월에 들어 온 송의 신악 가운데에는 쟁 사면이 포함되어 있고, 예종 십일년 유월에 들어 온 송의 대성아악에는 쟁은 없고 금과 슬이 있다.
다시 말하면 쟁은 중국의 아악에 사용되지 않고, 그 속악에 쓰이던 악기이다. 도, 동악지에는 대쟁은 아쟁과 더불어 당악조에 소개되어 있고 십오현으로 분명히 기록되어 있다. 예종 구녕에 들어온 쟁의 줄 수효는 모르지마는 소쟁이나 대쟁이 당악 즉 중국 속악에 사용되던 것만은 분명하다. 악학궤범에도 대쟁은 "지용당악"이라 한 듯이 아쟁은 향악에도 쓰였지마는 대쟁은 여전히 당악게만 사용되다가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 수공후
공후는 하프(Harp)의 총칭으로서 대체로 3종으로구분할 수 있다. 즉, 수공후와 와공후 그리고 대공후와 소공후로 나누어진다. 수공후는 제1종에 속하며 고대 埃及, 유태, 희랍 등지에서 유행하던 것이 그 후 페르시아, 인도에 전하고, 여기서 동서로 전파되어 東流한 것은 중국에 들어와 공후라 불리워지고, 유럽으로 들어 간 것은 여러 가지로 변천하여 오늘의 서양 하프를 보게 된 것이라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언제부터 어떤 경로로 어떠한 것이 들어왔는가에 대한 확실한 문헌이 없다. 다만, 수의 구부지중 고구려악에는 서량, 구자, 소륵악 과 같이 수공후를 썼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현재 국립국악원에 보존되어 있는 21현의 수공후는 와공후, 대공후, 소공후, 운나 등과 함께 1937년 故 함화진 씨(제5세 아악사장)가 북경에서 사 들인 것이다. 현재는 타는법도 모르고 쓰이지 않는다.
- 슬
중국 고대의 악기중의 하나로 줄은 이십오현이다. 은 시대의 슬이 발굴되었으니 이 악기의 발생이 얼마나 오래된 것을 알 수 있다. 고려 예종 십일년 유월 송에서 보내온 대성아악의 등가에 슬 이면, 헌가에 사십이면이 들어 왔다. 그 후 아악의 등가에 편성되어 지금에 이른다.
부부의 의가 좋은 것을 금슬상화라 하듯 금과 슬은 언제나 같이 편성된다.
- 아쟁
아쟁은 울림통이 가야금이나 거문고 보다 좀 크고 높다. 현은 원래 일곱 줄이었으나 요즈음은 음역을 늘이기 위해 아홉 줄을 사용하고있다. 개나리 나무의 껍질을 벗겨만든 활대에 송진을 묻혀 줄을 문질러 소리 내는데 가야금보다 사뭇 굵은 줄이므로 좀 거친 저음이 나온다. 개나리 나무는 속이 비어 있어 현을 공명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줄이 굵으므로 안족도 가야금이나 거문고 같이 악기를 무릎에 올려놓고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받침대를 놓고 아쟁의 머리 부분을 비스듬하게 걸친 채로 바로 앉아. 활대로 앞뒤로 줄을 그어 연주한다.
각 줄을 고이는 부분 즉 현침(絃枕, bridge)이 가야금이나 거문고는 위쪽에 하나 뿐이지만 아쟁은 줄을 매는 아래쪽에 또 하나의 현침을 가지고 있는데 줄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므로 줄의 울림을 고르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쟁은 저음 악기이기 때문에 관현악이나 관악 합주에 주로 편성된다. 이 악기는 전 합주의 음량을 크게 하고 웅장하게 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민속음악을 위해 자그마하게 만든 아쟁을 산조아쟁이라고 하는데 산조 아쟁도 약간 저음이면서 폭넓은 음색을 내고 있어 특히 남도 음악을 연주할 때 사용한다.
- 양금
양금은 구라철사금이라 한다. 조선 영조대에 청나라에서 들어와 주로 민간의 정악연주에 사용되었다. 악기분류법에 따르면 사부 또는 현명악기에 속한다. 사다리꼴의 판명위에 두 개의 긴 괘를 세로로 질러 고정시키고 괘 위에 14개의 금속줄을 가로로 얹은 다음, 대나무를 깎아 만든 가는 채로 줄을 때려서 맑은 금속성의 충격음을 얻는다.
몸통은 오동나무판을 사용하여 상자모양으로 짜서 만들고, 줄은 중국산의 주석과 철의 합금을 상품으로 친다. 보관할 때 줄을 보호하기 위하여 뚜껑을 만들어 덮는데, 연주할 때에는 이 뚜껑을 양금의 몸통 아래에 깔기도 한다. 뚜껑도 역시 오동나무로 만드는데, 여기에 화리를 붙이기도 한다. 양금은 원래 회교음악에 사용하던 악기였는데, 10세기에서 12세기 사이의 십자군원정 기간에 유럽에 전파되어 중세 이후 유럽 각국에 널리 보급되었다. 그 뒤 제수이트파(Jesuit파)의 선교사 리치(Ricci. M)가 명나라 신종 8년(1580)에 중국에 들어오면서 이 악기를 휴대해옴으로써 중국에 처음 소개되었는데, 이것이 영조 무렵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정을 박지원의 <연암속직> 권42, 이규경의 <구라철사금자보> 등에 의하여 알 수 있다. 이렇게 우리나라에 도입된 양금은 즉시 향악음정에 맞추어 조현되고, 풍류방에서 정악연주악기로 사용되었다. 지금도 <영산회상>의 연주와 가곡반주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단소와의 병조는 음색의 영롱함 대문에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양금은 두괘 위에 철현 4줄을 1벌로 하여 모두 14벌이 각 괘 위에 7벌씩 놓이는데, 왼쪽 괘의 왼편과 왼쪽 괘의 오른편 괘의 왼편만을 실제 연주에 사용하고 오른쪽 괘와 오른편은 사용하지 않는다. 각 줄은 곡철이라고 부르는, 시계태엽을 감는 도구와 같은 것으로 음을 고르는데, 먼저 오른쪽 괘의 왼편의 제 5현을 임종()에 맞추고 다음은 옥타브 관계를 이용하여 맞추어 나간다. 조현이 모두 끝나면 [표]와 같이 된다. 이와 같이 줄을 고르는 데 고선음이 없기 때문에, <영산회상>중 군악의 연주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제3현과 제4현 사이에 고선줄을 하나 더 얹기도 한다. 양금의 연주법은 거문고나 가야금에 비하여 비교적 단순한데, <구라철사금자보>에 의하면 단격(채로 한 번 침), 양격(채로 같은 줄을 두 번 침), 연격(채로 같은 줄을 연해서 치되 한 번 친 다음 곧 채머리를 줄 위로 숙여 트레몰로와 같은 효과를 냄)이 있다고 한다. 현재 양금악보로는 <구라철사금자보>, <유예지>,<일사금보>,< 서금보>,< 서금가곡>,< 방산한씨금보> 등이 전한다.
- 와공후
하프의 제2종에 속한다. 목이 굽은 모양이 봉황의 형상이라하여 봉수공후라고도 한다.
수의 구부지중 고구려악에 와공후의 이름이 보일 뿐, 그 뒤의 문헌에는 보이지 않는다. 국립국악원에 보존되어 있는 와공후는 1937년 북경에서 사들인 것이다. 타원형의 큰 공명판이 아랫쪽에 있으며, 줄은 13현이다.
- 월금
월금의 딴 이름은 완함이고, 완함은 진비파 또는 진한자라고도 불렀다. 완함에는 사현인데 오현도 있다. 즉 통구의 삼실종, 악학궤범, 일본 내량 정창종의 것은 모두 사현인데 대하여 무용총의 것은 오현으로서 조아는 3개를 아래로 하고 2개를 위로 한 것이다. 완함은 진의 죽림칠현도에 완함(자는 중용)이란 사람이 이와같은 악기를 타고 있어 그것을 완함이라 한 것이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목이 짧은 것을 월금이라고하고, 목이 긴 것은 완함이라고 하여 구분한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월금은 일찍이 고구려 고분 삼실총의 벽화에 보이나, 고려사에 는 언급되어 있지 않고 악학궤범에는 "지용향악"이라 쓰여 있다. 그러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해금
해금은 커다란 대통 -옛날에는 단단한 나무를 썼다고 함에- 마디가 많은 대나무를 세우고 두 줄을 늘어 뜨린 것인데 두 줄 사이에 말총으로 된 활을 넣어 양쪽 줄을 다 문질러 소리낸다. 해금은 송진을 칠해 마찰을 강하게 만든 활대로 줄을 문질러 연주를 한다. 이때 내는 소리가 깽깽 한다고 해서 깽깽이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어느 틈에 이 말이 천한 악기라는 뜻을 내포한 말이 되고 말았다.
대나무 기둥을 왼손 손바닥으로 앞쪽을 향해 잡고 네 손가락으로 두 줄을 잡는데 식지(食指), 장지(長指), 무명지(無名指), 소지(小指)가 하나씩 더해짐에 따라 음정이 올라가고, 또한 줄을 세게 잡아도 음정이 올라가므로 처음에는 정확한 음을 내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우리나라 음계는 음과 음 사이가 장2도(도-레 사이)와 단3도(라-도 사이)로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장조(長調) 음계는 솔라도레미인데 라에서 도를 내리면 다른 손가락보다 좀 더 세게 잡아야 맞는 음정을 얻을 수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음 내기가 더욱 어렵다. 그러나 줄을 강하게 잡으면 음은 올라가고 느슨하게 잡으면 내려오기 때문에 요성(搖聲:떠는 음)을 내거나 휘어 내리기 등이 손쉽다. 그러므로 선율을 아름답고 풍부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중국이나 인도네시아 등에도 이 같은 악기가 전하는데 이들도 줄과 활을 모두 팽팽하게 매어 사용한다. 그런 까닭에 줄을 손가락으로 짚는 정도로 농현하지 못한다. 이들 악기는 대통도 나무로 막는 것이 아니라 범가죽으로 막아 콧소리가 나기 때문에 마치 서양의 바이얼린 같은 느낌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 해금은 줄도 활도 다 느슨하게 매어 사용하므로 농현은 잘 되나 음량이 적은 것이 흠이다. 해금은 가부좌를 한 자세에서 발 위에 해금을 올려놓고 연주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통 부분이 발에 닿아 대통의 울림을 막는 결과를 초래라기도 하는데, 최근에는 이 같은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개량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향비파
신라 통일 이후에 속하며 삼현삼죽에 든다. 삼현은 거문고, 가야고, 비파이고, 삼죽은 대금, 중금, 소금이다. 삼국사기에 "향비파는 당나라 제도와 대동소이하며 신라에서 비롯하였으나 누가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 음곡에는 세 조가 았으니 궁조, 칠현조, 봉황조에 이백십이곡이 있다." 라고 있으나, 향비파가 신라에서 비롯했다는 말은 믿기 어렵다. 향비파는 사현에 곡경인 당비파와는 달리 오현에 직경인 점인 그 특징이다. 오현은 향비파의 이명동물이다.
이같이 오현은 이미 고구려에 들어 왔고, 통곡에 북국신출이라 있을 뿐만 아니라 수의 구부기 중에서 중국 속악인 청악과 예필에는 없고, 서량, 구자, 소륵, 강국, 안국, 천축 등 서역계 악에만 쓰인 점에서 서역 악기임에 틀림 없다. 더 분명히 말해서 그것은 구자의 오현비파라고 한다. 이와같이 향비파는 서역에서 고구려, 고구려에서 신라로 전한 것이고, 신라에서 향비파라 하게 된 것은 당비파와 구분하기 위함이라 하겠다. 그것은 최치원의 향악잡영오수에 나오는 향악이 신라 고유의 음악이 아니고, 서역악을 가리킨 점에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향비파를 포함한 삼현삼죽은 고려를 거쳐 조선 초기까지 노래와 춤의 반주에 사용되어 왔으나, 성종시대에 이르러서는 배우기 어려운 까닭에 잘 타는 이가 적었다고 한다. 지금은 쓰고 있지 않지만 1930년대까지 거문고를 전공하는 이가 겸공으로 거문고 타는법에 따라 연주하였다.
※ 타악기
- 갈고
갈고는 장고와 그 크기나 모양에 있어서 거의 같다. 다만 양면의 가죽이 얇고 그 크기가 같으며, 두 손에 채를 들고 치고, 음절을 조절하는 축수가 양쪽에 있다는 것이 장고와 다르다. 두 손에 채를 들고 치기 때문에 양장고라고도 한다. 갈고는 고려사에도 비치지 않았고, 악학궤범에도 보이지 않는다. 다만 영조 이후의 진찬의궤에 이 악기가 더러 보이나, 지금은 국립국악원에 그 악기만 보존되어 있을 뿐,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 건고
전정 헌가에 쓰던 큰 북으로 가죽의 지금이 삼척 오촌, 통의 길이가 사척 구촌 오분이나 된다. 십자형으로 호랑이 모양을 한 발을 만들고 그 호랑이 위에 기등을 세우고, 그 기둥이 북통 중간을 버티어 준다. 그리고 큰 북 위에는 다시 붉은 칠한 제 기둥을 세우고, 방개를 이층으로 세우고, 이 두 방개에는 각각 홍색과 녹색의 비단 휘장이 둘러 있고, 아래 층 방개의 네 모퉁이에는 용간이 각각 하나씩 꽂혀 있고, 용간 입에는 오색사류소를 물려 내러뜨리고, 위층의 작은 방게 위에는 연화를 마련하고, 그 위에 날개를 펴고 나르는 모양을 한 백로가 꽂혀 있다.
건고는 회려연 헌가 및 전정 현가에 삭고, 응고와 함께 편성되었다. 합주를 시작하기 전에 삭고를 한 번 치고, 다음 응고를 한 번 친다. 그런 다음 축을 세번 치고 진고를 한번 치는 것을 세 번 반복하면 합주가 시작된다. 또 합주가 그칠 때는 건고를 세 번 치고 그와 동시에 고를 세번 긁고 백을 치면 음악이 그친다. 이 악기는 현재 사용되지 않으며 국립국악원에 진열 된 것은 육이오동란 후에 다시 만든 것이다.
- 교방고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에 당악기로 소개 되어 있다. 대고와 같이 반룡이 북 통 둘레에 그려져 있고, 진고와 같이 네 발로 된 틀 위에 놓되 북 가죽이 위로 가도록 틀에 건다. 치는 법은 악절에 따라 장고의 북편 소리에 맞추어 동시에 친다. 이와 같이 교방고는 당악에 사용하였고, 행악에서는 북 틀 횡목에 긴 장대 둘을 끼고, 그것을 네 사람이 메고, 걸어 가면서 쳤다. 그러나, 향악에 속하는 무고 춤에도 이 교방고를 약간 작게 만들어 사용하였다. 무고 춤은 고려 때는 북하나를 놓고 두사람이 추었으나,이조 성종 때의 무고는 팔고무, 사고무 등으로 발전 하였다. 즉, 두사람이 출 때는 북하나, 네 사람이 출 때와 여덟 사람이 출 때는 그 춤 주는 사람 수에 따라 북도 넷 혹은 여덟 개를 사용하였다.
지금은 여덟 사람이 추되, 네 사람은 원무라 하여 두 손에 북채를 들고 무고를 끼고 돌며 이를 희롱하고, 나머지 네 사람은 협무라 하여 삼지화라는 꽃 방망이를 두 손에 들고, 가에서 방위를 짜고 돌며 춤 춘다. 한편 무고에 쓰는 북은 세 기둥으로 된 틀에 올려 놓고, 북 통 둘레에는 반룡 대신 청홍백흑으로 각각 칠하여 동서남북으로 배설하고 그 주위를 돌기도 하고 치기도 하며 춤을 춘다. 무고 춤의 내용은 고려사 악지의 다음과 같은 글로써 짐작 될 것이다. "이혼이 형해로 죄천 되었을 때, 바다에 뜬 널쪽을 얻어 무고를 만들었다. 그 소리가 굉장하고 또 그 춤이 바뀜에 따라 건듯거리며 나아가는 모양이 풀풀 나는 듯, 따로는 쌍접이 꽃을 끼고 돌며 교태를 부리는 듯, 때로는 두 룡이 구슬을 다투는 듯하여 악부에서는 가장 기이한 것이다."
- 꽹과리
꽹과리는 일명 소금, 꽹매기라고도 한다. 놋쇠로 만든 둥근 모양의 악기로 지름이 20cm 내외이다. 징보다 크기만 작을 뿐 같은 모양이다. 그 용도에 따라 명칭이 다른데 궁중의 제향에 쓰이는 것은 소금이라 하고, 농악이나 무악 등에 사용되는 것은 꽹과리라고 부른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소금은 둑제와 종묘제향에 사용되었다. 제향에 쓰이는 소금은 붉은색을 칠한 자루에 매달려 있는데, 자루 윗부분에는 채색한 용머리가 달려 있으며, 연주할 때는 자루를 잡고 나무망치로 친다. 농악에 쓰이는 꽹과리는 징과 같이 홍사 끈으로 손잡이를 만들고 나무를 깎아 만든 꽹과리채로 친다. 이때 약간 비껴쳐야만 쇠의 파열을 막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꽹과리 끈을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꽹과리의 뒷면을 눌렀다 떼었다 하면서 다양한 음향을 낸다.
농악에서는 꽹과리 치는 사람을 상쇠,부쇠 등으로 부르는데, 상쇠는 농악의 지휘자격으로 전체의 흐름을 지휘한다. 상쇠는 땡땡한 음색에 높은 소리가 나는 것을 주로 쓰고, 부쇠는 이보다 부드러운 음색에 소리가 낮은 것을 즐겨 쓴다.
- 노고/노도
노고는 긴 북 두개를 서로 엇갈리게 놓고 위에서 아래로 기둥을 관통시켜 나무틀에 고정시킨 것이다. 북면은 지름이 40cm정도이고 북통의 길이는 95cm인데, 북통의 가운데가 조금 더 부푼 것은 진고와 똑같다. 나무 틀은 편종틀과 비슷하나 밑의 기둥을 방대가 아니라 목사자(木獅子)를 十자로 교차시켜 네마리의 사자로 고정시킨 점이 재미있다. 그러므로 전체 북의 높이가 1백 97cm가 된다. 북면과 북통의 칠은 진고와 같다. 쓰임새는 절고나 진고와 같게 음악이 진행되는 중간과 시작 및 끝에 친다. 노도나 노고는 문묘 제례악 때만 아니라 선농(先農:농사의 시조),선잠(누에 기르기의 시조) 등 사람의 귀신에게 제사할 때 사용되는 것이나
조선 왕조가 망한 후 다른 제사는 다 없어지고, 오직 문묘(공자묘)의 제례만이 남아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이 두 악기도조선 왕조에 들어와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본다. 노도는 북면이 15cm, 북통이 31cm의 작은 북 두 개를 서로 엇갈리게 장대에 꿰어 놓릉 북이다. 북통에는 붉은 칠을 했는데, 장대는 노고와 같이 목사자로 고정시키고 장대 맨 위에는 흰 칠을 한, 새의 조각을 꽂아 놓았다. 노도는 음악이 시작되기 전에 목사자에서 봅아 땅에 비스듬히 세우고 장대 자체를 왼쪽 오른쪽으로 돌린다. 이 때 북통에 달린 가죽끈이 북면을 때리면서 소리가 난다. 그 다음에 축과 북이 세 번 반복 연주된 후에 음악이 시작하는 것은 진고나 절고나 같다. 노도나 노고는 문묘 제례악 때만 아니라 선농(先農:농사의 시조), 선잠(누에 기르기의 시조) 등 사람의 귀신에게 제사할 때 사용되는 것이나 조선 왕조가 망한 후 다른 제사는 다 없어지고, 오직 문묘(공자묘)의 제례만이 남아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이 두 악기도조선 왕조에 들어와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본다.
- 뇌고/뇌도
뇌도는 작은 북 세 개를 긴 자루에 꿰어 놓은 것이다. 뇌고는 진고를 따라 같이 치지만 뇌도는 음악이 시작하기 전에 세 번을 흔든다.즉, 북이 달린 긴 자루를 수평으로 뉘어서 흔들면 북통 양옆에 느러뜨린 가죽 끈이 고면을 두들겨 소리를 낸다. 이에 계속해서 축을 세 번 치고 진고를 한번 치기를 세 번 반복한 다음 합주가 시작된다. 뇌고와 뇌도는 이조 세종 때에 제작 되었고, 원단제가 폐지된 뒤로는 이 악기도 쓰이지 않게 되었다.
뇌고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북 통의 한쪽에만 가죽을 댄것 여섯 개를 모아서 둥근 모양으로 틀에 매달아 놓은 것이다.
이 여섯 개의 북에는 무두 검은 칠을 하고, 틀은 삭고의 틀보다 조금 크며 용안에다 색사류소를 단 점이 다르다. 영고, 영도는 지" "의 제향인 사직에 쓰고, 노고, 노도는 인혼의 제행인 선농, 선" ", 무사, 문선왕에 쓰는 데 뇌고, 뇌도는 천신의 제향인 원단 또는 풍운하우, 산천성" "의 헌가에 사용된다.뇌고, 뇌도가 육면인 것은 천신 제사의 육신악이 같은 곡은 여섯 번 반복하는 것과 일치한다.
- 목탁
목탁은 한 종류일 뿐이지만, 크기에 따라 소리가 다양하다. 목탁은 절에서 예불에 쓰이는 사물인 목탁, 종, 운반, 목어 악기 중의 하나로서, 크기에 따라 음정, 음색이 각기 다르다. 몸통이 클수록 무겁고 낮은 소리가 나며, 몸통이 작을수록 맑고 높은 소리가 난다. 목탁을 음악 연주에 사용할 때에는 음악에 알맞은 것을 한두개 정도 선택하여 쓰는데, 근래에 와서는 음정이 다른 목탁을 여러개 틀에 묶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 방울
여기서 소개하고자 하는 방울은 경기 지방의 무속음악에 쓰이는 것이며, 조그마한 방울 여러개를 하나로 묶어서 만든 것이다. 경기 무속음악에 쓰이는 방울은 무당이 손에 들고 흔들어서 소리를 내는데, 여러개의 작은 방울이 서로 부딪쳐 나는 소리가 독특하여, 창작음악 연주에 자주 쓰이고 있다. 근래에 와서는 여러 종류의 방울들이 특히 창작무용 등에서 쓰이고 있는 데, 이 방울들은 음악 연주에 크게 활용되지는 않는다.
- 방향
방향(方響)은 길이 60mm, 넓이 15mm, 두께 6mm 정도의 철편을 8개씩 두 단으로 배열해 만든 악기이다. 철편의 크기는 비숫하나 편종?편경과 같이 두께로 음정을 조절할 수있게 했다. 두께가 굵을수록 음정이 높아지는데, 철편과 철편 사이의 음의 차이는 반음이다. 그러므로 방향은 16개의 반음으로 되어 있는 셈이다. 하단(下段)은 오른쪽에서왼쪽으로, 상단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음이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기록에 의하면 임진란(壬辰亂)전과 뒤가 그 배열이 좀 다르게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철편을 매다는 틀은 편종틀과 비숫하나 전체적으로 좀 작은 편이다.
맨 위에 가로놓여진 나무의 양 끝은 봉황의 머리가 조각되어 있고, 좌우 기둥은 목사자(木獅子)와 방대(方臺)라는 나무 상자에 꽂혀 세워져 있다. 울긋불긋 칠한 단청(丹靑)은 편종?편경틀과 같으나 나무 틀의 맨 위에 목공작(木孔雀)을 꽂지 않는 점이 다르다. 그러나 쇠뿔로 만든 각퇴(角槌)로 치는 것은 편종?편경과 같다. 방향은 원래 중국 양조(梁朝)에 기원한다. 당(唐), 송(宋), 원(元)에서는 주로주로 연회 음악에 사용되었고 명(明), 청(淸) 시대에는 제사 음악에 쓰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문종(文宗, 1046-1083)때 방향 전문 연주자가 있어, 다른 악기들과 함께 당악(唐樂)을 연주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고려시대 예종 9년(1114년)에 들어온 송(宋)나라 신악(新樂) 가운데에는 철로 만든 방향과 돌로 만든 방향이 각각 다섯 틀씩 들어 있었다. 그러나 석(石) 방향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전해 오는 그림 자료가 없어 알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세종 때방향이 행악(行樂)에 사용되었는데 천자(天子)를 위해서는 8틀, 제후(諸候)를 위해서는 4틀이 편성되었다. 이로 보아 당시 많은 수의 방향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범위하게 연주되었던 방향이 언제부터인지 편종과 편경에게 그 임무가 맡겨졌고 행악에도 안쓰였으며 오직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에 일부 편성되었다. 이 사실은 세종실록에 "우리나라의 방향은 세 틀에 지나지 않고 그것도 과반수가음정이 맞지 않는다"라고 기록되어 있는가 하면 "악사들이 배울 수 있는 방향은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것 뿐이므로 사사롭게 배우고자 하여도 연습할 악기가 없으니 방향을 더만들고 고치어 행악에 소요되는 수효도 갖추고 또 널리 배울 수 있도록 하라"는 관습도감(慣習都監) 박연(朴堧)의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만들기가 어려웠던 것으로생각할 수 있다. 현재 국립국악원에는 상당수의 방향편(方響片)이 보관돼 있으나 어느때 것인지 표시가 없다. 방향편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무쇠이기 때문에 세련된 소리가 날 수는 없으나 부식되면 더 좋지 않은 소리가 날 것으로 짐작된다. 방향편의 모양도 갖가지여서 구분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대개 임진란(壬辰亂) 이전의 방향편은 위 부분이 둥글고 임진란 이후의 것은 장방형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주용 방향의 경우 방향편 끼리도 음정이 맞지 않고 소리가 좋지 않은 것은 부식 때문인 것 같다. 음향 전문가 김용국씨가 국립국악원이 소장하고 있는 방향편 중에서 황종(黃鍾)편 다섯개를 골라 그 진동수를 측정한 적이 있는데 그 결과 부식이 제일많은 것이 949.4C/S 인 반면 부식이 가장 덜 된것이 1053.8C/S 임을 밝ㅎ기도 했다. 이 결과로 부식 정도가 많음에 따라 진동수가 떨어짐이 증명된 셈이다.
- 박
박은 두께 35cm, 가로 7cm, 세로 1cm의 박달나무 여섯 조각으로 되어 있다. 윗쪽에 구멍을 뚫고 가죽 끈으로 매었는데 나무와 나무 사이에 엽전을 대어 나무끼리 서로 닿지 않도록 했다. 이것은 구멍이 닳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지만 나무와 나무 사이를 뜨게 해서 부채살 모양으로 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 생각된다. 여섯 조각을 폈다가 한꺼번에 서로 부딧게 하면 "딱" 하는 소리가 나는데 이것으로 음악을 지휘하는 것이다. 이 박을 들고 지휘하는 사람을 집박자(執拍者)라고 한다. 집박자는 홍주의(紅周衣)라는 붉은 궁중 악사복
입지 않고 녹색의 청삼(靑杉)을 입고 머리에 쓰는 것도 보통 복두( 頭)와는 다른 모라복두(冒羅頭)라는 관(冠)을 쓴다. 먼저 합주단 전원이 정렬해서 앉아 있으면 집박자가 들어와 관중에게 인사하고 합주단을 향하여 서서 박을 펼친다. 이 때 모든 연주자는 연주 자세를 취한다. 박이 "딱" 하고 한 번 치면 모든 연주자는 일제히 숨을 들여 마시고는 음악을 시작한다. 그러므로 처음 시작은 잘 안 맞을 수도 있으나 그래도 생각보다는 잘 맞는다. 박은 음악의 끝도 지휘하는데 서양 음악과는 완전히 대조적이다. 서양음악은 대개 끝을 강조하기 때문에 강하게 소리 내다가 극적으로 소리를 끊어 버리지만 한국 음악은 그와 반대이다. 우리 음악은 끝을 약하게 하고 조금 끌기 때문에 박을 세 번 치는 동안에 그야말로 길지도 짧지도 않게 적당하게 끝을 맺는다. 어떻게 생각하면 용두사미(龍頭蛇尾) 같지만 옷깃을 여미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오히려 올바른 끝맺음이 아닐까? 이와 같이 우리 나라 음악은 손을 흔들며 지휘하지 않는다. 집박자는 묵묵히 자기 오케스트라를 지켜볼 뿐이다. 그러나 그는 단순히 서있는 것이 아니라 그와 같이 연주하고 있는 것이다. 연주자들도 그 지휘자가 있을 때와 없을 때가 연주하는 마음이나 자세가 다름은 물론이다. 그는 음악을 가르치고 연습시키고 지적하고 이어가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박은 또한 음악의 중간이나 궁중 무용의 중간에도 친다. 예전 기록에는 장구 장단첫머리(향악)에서 치고 가사의 네자(四字) 마다 (당악) 치기도 했으나 요즘은 꼭 그렇지만은 않다. 현재는 종묘 제례악에서 한 곡에 네 번 정도씩 치는 경우와 느린곡들(여민락, 영산회상 중 상령산, 혹은 중령산 등)에서 장(章)이 바뀔 때나 소곡(小曲)이 바뀔 때 한 번씩 치기도 한다. 또한 궁중 무용에서는 장단이나 대형(隊形)이나 춤사위의 변화를 지시할 때 한 번씩 친다. 이 박은 박판(拍板) 이라고 하여 통일 신라 때부터 노래와 춤에 사용된 중국에서 전래된 악기이다. 또한 상아(象牙)나 다른 짐승의 뼈로 조그맣게 만든 것을 아박(牙拍)이라고 하는데 궁중무용 아박무(牙拍舞)에서 손에 들고 "짝짝" 치면서 춤을 춘다. 따라서 음악을 다 알지 못하면 박을 칠 수가 없기 때문에 아무나 칠 수 없다. 박을 들고 연주단 앞에 서 있다는 것이 보는 사람들에게는 아무것도 아닌것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막상 서 있는 사람의 심리는 자연스럽지 만은 못하다. 더구나 음악의 내용이 좋지 않으면 더욱더 서 있기가 어려워진다. 한 시간 또는 한 시간반 이나 되는 음악에서는 정신적인 갈등 또한 더욱 심해지기도 해서 아무나 할 수 없는 것이 집박이다.
- 부
부(缶) 꼭 지름이 32cm, 높이가 23cm정도되는 질화로 모양의 타악기이다. 24cm 정도 높이의 조그만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대나무 채로 친다. 채는 반 정도가 아홉 가닥으로 갈라져 있으며 연주자는 이 채로 부의 가장자리를 친다. 그러나 부의 연주에 무슨 음정이 있는 것도 아니고 리듬이 중요한 것도 아니다. 고려 때 송나라에서 들어온 대성아악(大晟雅樂)에는 부가 들어 있지 않았지만 조선조 세종 때에는 문묘제례악의 헌가(軒架) 편성에 부가 들어 있다. 이 때에는 10명의 연주원이 각각 부 하나씩을 연주하였다고 한다. 세종때 박연의 상소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쓰는 부는 그 형상이 그림(책에 있는)과 같지 않고 또 쳐 도 전혀 음악적인 소리가 없으며 헌가에 공연히 갖추기만 하기 때문에 부공(缶工)을 헐공(歇工:쉬는악사)이라고 했으니 거짓이 너무 심하다" 이어서 박연은 마포강가에 있는 도소(陶所)에서 우수한 도공(陶工)을 가부를 만들게하고 중음(衆音)에 맞는 것을 골라 쓰겠다고 원하고있다. 부(缶)도 훈과 마찬가지로기와 흙으로 만드는데 부의 두께와 잘 구어지는 정도나 부의 높이에 따라 소리의 높고 낮은 음이 난다. 악기로는 가장 특이하게 생긴 것이라고 하겠다.
- 북
북은 악기 중의 가장 원시적인 악기에 속한다. 처음에는 북 자체가 하나의 독립된 악기였으나 다른 악기들이 발달되고 성악이 생기면서 북은 연주보다는 반주의 역할이 더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여러 나라의 전통 음악에는 북 만의 연주가 중요한 음악 양식으로 남아 있다. 가까운 일본의 여러 지방 민속 음악엔 으레 북 치는 전통이 남아 있다. 우리 나라에도 북 춤이나 농악에서의 장구 및 북은 그 자체 만으로도 대단히 훌륭한 공연 예술인 것이다. 북은 옛날엔 통나무를 잘라 안을 파서 사용했으나 지금은
길죽한 나무판을 모아 북통을 만들고 양면을 가죽으로 씌운다.이 때 여러 가지 가죽이 사용되나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소나 개 가죽을 썼다. 우리나라의 북은 장구를 포함해서 20여종이 있는데 그 중 약10종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북은 그 생김새에 따라 이름이 각각 다르다. 농악에 쓰는 북은 크기가 45 × 25cm로 가죽 가장자리에 구멍을 뚫어, 양면의 가죽을 하나의 줄로 꿰어 잡아 당겨 조인다. 그러므로 북통과 줄 사이에 나무 토막을 넣어 가죽을 더 조일 수도 있도록 하여 북의 음정을 조절한다. 그러나 판소리 북은 북통을 가죽으로 한 번 싸고 양면에 각각 가죽을 씌운 다음 넓적한 둥근 못을 박아 고정시켜 놓았기 때문에 음정을 조절할 수 없다. 또한 옛날 군대에서 사용하던 북이나 춤 북은 용고(龍鼓)라고 하는데, 이는 북통에 용을 그려 넣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렇게 가죽 위에 못을 치는 것은 본래 우리 나라 제작방법이 아니고 일본식이라고 하는 이도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북통에 둥근 쇠고리를 단 것인데 판소리 북은 크기가 36×25cm로 그 고리를 손잡이로 사용하지만 농악 북이나 용고의 경우는 무명천을 끼워 허리를 돌려 몸에 매는 데 사용된다. 이들 북은 모두 둥글게 깍은 나무채로 두드리는데 농악북은 왼손으로 북을 잡고 오른손으로 두드린다.
- 삭고
삭고는 시작을 성하게 하는 북으로 전정 헌가에 사용 한다 하였다. 조회와 연향 때 대궐 뜰에서 진설하되, 진고는 가운데 있고, 삭고는 서쪽에, 응고는 동쪽에 두며 음악이 시작될 때 사용된다. 엎드린 네 호랑이 등 위에 틀을 태우고 그 틀에 북을 건다. 양쪽 가죽 지름은 일척 사촌 사분, 통의 길이는 2척 육촌 삼분으로 응고보다 약간 크다. 틀 위 중앙에는 해의 모양을 그리고 흰색을 칠한 점이 응고와 다르다.
- 소고
소고는 딴 이름으로 매구북이라고도 한다. 매굿 즉 지금의 농악에 쓰이는 작은 북으로 손잡이가 없는 것도 있고, 있는 것도 있다. 선소리꾼들 사이에서도 이 소고가 사용되고, 근자에 와서는 민속무에 이 악기를 들고 추기도 한다. 또 그가죽은 판산타령의 가사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개 가죽을 쓴 것으로 기억한다. 농악에서는 대개 매장단 그 첫 박에 한 번씩 치며 춤추기도 하고, 원점만 쳐 나가기도 한다.
- 어
나무를 깍아 만든 엎드린 호랑이의 모습을 한 악기는 주변에서 거의 볼 수 없는 특이한 악기다. 호랑이의 등에는 톱을 나무로 만들어 등줄기를 따라 꼬리 부분까지 길게 박아 놓았는데 그 톱니가 27개이다. 어는 생김새 뿐만 아니라 그 연주하는 법도 아주 진기하다. 둥근 대나무 끝을 세 가닥씩 셋으로 쪼갠 채로 호랑이의 머리를 세 번 치고는 나무톱을 꼬리 쪽으로 한번 훑어 내린다. 이러기를 세 번 함으로써 음악의 끝을 장식한다.
어를 치고 나면 박을 세번 울려 음악을 완전히 끝낼 수 있다. 의식음악을 연주할 때 축은 음악의 시작을 알리므로 동쪽에 놓았지만 어는 음악의 끝남을 알리는 것이므로 서쪽에 놓는다. 또 축은 동쪽을 상징하는 악기이므로 푸른 색깔이지만 어는 서쪽을 상징하기 때문에 흰칠을 한다. 그러므로 어는 흰색에 검정으로 긴 얼룩무늬를 그린다. 우리 나라의 악기는 앉아서 연주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어와 축은 방대 위에 올려 놓으므로 서서 연주한다. 어는 축과 함께 고려 때부터 사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크기는 대개 105cm x 39cm 이다.
- 영고/영도
영고는 여덟개의 북을 모아서 틀에 매단 것이다. 즉 팔면의 북을 가진 악기이다. 북통은 노란 칠을 한다. 영고, 영도가 팔면인 것은 지신의 제사인 율신악이 같은 곡을 여덟 번 반복하는 것과 일치한다. 영고와 영도의 치는 법은 뇌고, 뇌도와 같다. 이조가 멸망하고, 사직제가 없어짐에 따라 이 악기도 소용없게 되었고, 국립국악원에 보존되어 오던 악기는 육이오 동란 때 없어지고, 지금의 것은 최근에 다시 만든 것이다.
- 용고
북 통 양편에 고리를 박고, 그 고리에 끈을 달고 어깨에다 메고, 두 손에 쥔 채로 위에서 내려친다. 능행도에 보면 이 북은 태평소, 나발, 징, 자바라, 소라와 함께 대취타에 편성되어 있다. 이 용고는 악학궤범 권8에 소개된 정대업에 쓰이는 대고와 소고에 가깝다.
- 자바라
자바라는 일명 바라, 발, 제금이라고도 한다. 바라는 그 크기에 따라 자바라,요발,동발,향발,등이 있으며 또한 그 용도가 다르다. 바라는 냄비 뚜껑같이 생긴 두개의 얇고 둥근 놋쇠판으로 만들며, 놋쇠판 중앙의 불룩하게 솟은 부분에 구멍을 뚫고 끈을 꿰어 그것을 양손에 하나씩 잡고 서로 부딪쳐서 소리를 낸다. <선화봉사고려도경>에 요발이 보이며, <악학궤범>에는 동발이 나오지만 "바라" 또는 "자바라"라는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그뒤 순조 때의 진찬의
궤에 자바라가 징, 호적, 나발과 함께 내취에 의하여 <선유락>의 반주용으로 사용된 것이 보인다.또한, 자바라는 장구, 용고, 징, 태평소와 함께 행진곡풍의 대취타에 사용된다. 또한, 불교의식무용의 하나인 바라춤을 출 때 양손에 바라를 들고 춘다. 바라춤에는 천수바라, 명바라, 사다라니바라, 관욕게바라, 막바라 (보통 바라), 내림게바라 등 여섯가지가 있다. 이밖에 장구, 북, 징, 꽹과리, 방울 등 타악기 및 피리, 젓대, 해금 등의 선율악기와 함께 무속음악에서도 중요한 구실을 한다. 무속음악에서는 지방이나 때, 굿의 규모에 따라 악기 사용이 들쭉날쭉하지만, 자바라는 주로 서울, 서도, 동부지방 의 무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응고
응고는 마침을 조화시키는 북으로 전정 헌가에 사용한다 하였다. 그러나 음악이 시작하려면 먼저 삭고를 한 번 친 다음 응고를 한 번 치고 고축 삼성이 있은 후 합주를 시작하지만 끝날 때는 응고를 치지 않는다. 건고과 삭고과 응고는 한 짝으로 헌가에 편성된다. 응고는 삭고와 그 제도가 거의 같으며 삭공의 틀위에 해의 모양을 그리고 흰 칠을 하는데 대하여 달 모양을 그리고 붉을 칠한 것이 특징이며, 북이 삭고보다 조금 작다. 고려 예종 11년에 들어 온 송의 대취타악 헌가악기 가운데 응고가 끼어 있었고, 이조 세종 때에 건고와 함께 제작되었다. 지금 국립국악원에 전하는 응고는 삭고와 함께 육이오 동란 이후에 다시 만든 것이다.
- 장고
장고는 허리 부분이 가늘다 하여 일명 "세요고"라 부르기도 한다. [악학궤범] 에는 [문헌통고] 를 인용하여 이렇게 설명되어 있다. "갈고, 장고, 요고는 한나라와 위나라에서 사용되었다. 요고의 통은 큰 것은 질그릇으로, 작은 것은 나무로 만든다. 머리는 모두 넓고 허리는 가늘다. 송나라 소사의 이른바 세요고가 이것이다. 오른쪽은 채로 치고 왼쪽은 손으로 친다. 후세에는 이것을 장구라고 하였다."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송나라로부터 수입되어 조정의 당악에 쓰이고, 그 뒤 오늘날까지 속악뿐만 아니라 민속악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장구는 오른손에 대쪽으로 만든 가는 채를 가지고 그 채편을 치며,
왼손으로는 손바닥으로 북편을 치는데, 양편을 동시에 치는 것은 쌍이라 하고, 채로 채편만 치는 것을 편, 왼손으로 북편만 치는 것을 고, 그리고 채로 잠시 치고 굴리는 소리를 내는 것은 요라고 한다. 장구의 허리는 나무에다 칠포를 붙인 것이 제일 좋고, 사기가 그 다음이며, 질그릇은 좋지 않다. 허리는 검정 또는 주홍칠을 한다.
- 절고
악학궤범에 "절고는 다만 음악의 시작과 그칠 때만 쓸 뿐아니라, 연주할 때 그 중간 중간에 치는 것이 헌가의 진고와 같다"라 하고, 또 절고는 아악의 등가에만 쓴다고 하였는데, 이런 법은 지금까지 전해 온다. 지금도 문묘와 종묘의 제향 때 그 등가악에 편성된다. 그러나, 고려때의 대성아악의 등가에 박촌이부는 있어도 진고는 보이지 않고, 악학궤범에 아악기로서 소개되어 있으니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제작된 것 같다. 제도상으로 보면, 악학궤범의 그림에서는 통 같이 생긴 북을 대 위에 뚫린 구멍을 북의 아래 한 부분이 비스듬이 들어 박혀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켜 놓고 위에서 치나, 지금은 북을 대위에 그냥 가로 놓았기 때문에 자연 옆에서 치게 마련이다. 아악 등가의 시작과 그칠 때 치는 법은 특종과 특경향에서 이미 설명되어 있다. 음악 중간에 치는 법은 현행 문묘제례악은 사자일구 즉, 이 분의 사 한 소절 끝 박마다 두 번씩 치고, 종묘제향등가악인 보태평과 농안지악은 대개 매악절의 첫 박자에 한번씩 친다.
- 정주
정주는 술잔 정도만한 크기의 놋그릇(종지)로 만들어져 있으며, 주로 진도 씻김굿에서 쓰이는 데, 근래에 와서는 창작 작품에도 활용되고 있다. 정주는 손바닥 위에 올려놓거나, 그릇 밑에 구멍을 뚫어 끈으로 매듭지어 놓고, 그것을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에 채를 들고 쳐서 소리를 낸다. 울림(여음)이 길고 맑으며 높은 소리가 나기 때문에 창작 작품에 즐겨 쓰인다.
- 종
종은 금속으로 주조한 타악기로 악종, 시종, 경종, 범종, 등 그 범위가 넓지만, 우리나라 민족문화의 소산물로서 종이라 일컬을 때에는 범종을 말한다. 범종은 일반적으로 동종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중국과 같은 나라는 철제종이 많지만 우리나라는 모두 청동으로 주조하였기 때문이다. 범종은 법구사물 중의 하나로 중생을 제도하는 불구이나, 불구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금속 공예 전반에서도 그 규모와 각부의 조각으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주목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동종이란 사찰에서 사용하는 동제의 범종으로, 대중을 모으기 위하여 또는 때를 알리기 위하여 울리는 종이다. 이 범종은 다른 불구와는 달리 그 규격이 크기 때문에 흔히 종루나 종각을 짓고 달아두며, 중형이나 소형의 동종이면 현가를 설치하여 매달기도 하므로 목조가구와도 연관이 된다. 종은 크기에 따라 음정 및 음색이 다양하여, 창작음악에 활용하면 좋은 연주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종 자체가 크고 쉽게 구하기가 어려워 연주에 사용하기가 어렵다.
- 좌고
무고를 옆으로 틀에 걸어 놓은 것 같다. 좌고는 고려사나 악학궤범에 보이지 않고, 헤원의 무악도에 나온다. 헤원의 무악도에 의하면 피리 둘, 대금 하나, 소금 하나, 장고 하나, 북 하나, 이렇게 여섯잽이 편성되는 데, 이것이 삼현육각의 편성법이다. 이와 같이 좌고는 춤의 반주에 쓰이기도 하고, 주로 합악과 관악합주에 사용되고 홍악합주에는 쓰이지 않는다. 그 치는 법이 장고이 합장단과 북편, 즉 장고가 북편을 칠 때 따라 친다.
- 징
징은 우리나라 악기 중 가장 많은 이름을 갖고 있다. 그것은 크기에 따라 그 이름이 달리 되어있고 또한 지방에 따라 달리 불리기 때문이다. 징이라는 이름 외에 단순히 금(金) 또는 금징(金鉦)이라고 하였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는 징을 대금(大金), 꽹과리를 소금(小金)이라 하여 그림과 함께 곁들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지방에 따라서는 대야처럼 생겼다고 해서 민대야 또는 옥대야라고도하며 무당이 쓰는 징은 광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징은 쇠와 함께 농악에서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
그러나 흔히 꽹과리는 중요하게 생각하나 징은 소홀하게 평가되기가 쉽다. 농악에서 쇠는 잔 가락을 치고 징은 대개 첫 막에만 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한 장단 안에서 여러번 치기도 한다. 즉 농악에서 장단을 차(次)또는 채라고 하는데 일차에서 12차까지 있다고 한다. 여기서 차라고 하는 것은 징을 치는 회수를 말하는 것으로 칠채는 징을 일곱번 친다는 것을 가리킨다. 징은 그밖에도 무당 굿과 시나위에서 거의 엎어놓은 상태에서 치기 때문에 소리가 크지 못하나 신비감을 준다. 절에서 울리는 재에서 범패(梵唄)를 부를 때는 그냥 든채 친다. 무당이 쓰는 징은 비교적 작은 것이나 절에서는 큰 것을 사용한다. 징은 민속 음악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종묘 제례악과 대취타(大吹打)에 편성되기도 한다. 종묘 제례악은 정치(政治)를 잘 했다는 의미의 보태평(保太平) 열한곡과 군사적 업적(武功)을 기리는 정대업(정대업) 열한곡이 있는데 징과 꽹과리는 이 정대업의 매 박자 첫 박에 쳤다. 그러나 요즘은 꽹과리는 치지 않고 징만 연주한다. 특히 징은 제례의 아헌(亞獻)과 종헌(終獻)에서 연주하는데 종헌에서는 징을 열번 친다. 군대에서 징은 북과 함께 사용되었는데 북은 전진을, 징은 후퇴나 싸움을 거두는 신호로 사용했다. 또 예전 군악에서도 징은 북과 함께 기본박자를 짚어 갔다. 군악 연주에서 대취타는 처음에 등채라고 하는 군악대장이 "명금일하 대취타(鳴金一下大吹打)"라고 외치는데 이 말은 금, 즉 징을 한번 울려 대취타를 시작하라는 명령이다. 징이 한번 꽝 울리고 그 다음 북이 따닥 딱 하고 템포를 제시하면 모든 악기가 음악을 시작한다. 이때 템포는 약< = 40> 정도로 매우 느려 현재의 군악< = 80-90> 보다 배나 느리다. 따라서 여러가지 타악기가 서로 잘 맞기도 어려울 뿐더러 그 템포에 맞추어 행진하기는 더욱 어렵다. 그러나 요즈음은 각급 학교를 국악 시범학교로 지정하고 취타대(吹打隊)를 운영하는데 여러가지 국악 행진곡을 연주한다. 징은 지름이 37cm 에서 40cm 정도의 여러가지 징이 사용되는데 절에서 사용하는 것이 제일 크며 무게는 한관(貫)이 넘는 것도 있다. 징채는 나무채에 보통은 천을 감아치는데 더 부드럽게 하기 위해 예전에는 짚을 감아 치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징채가 단단해지는 경향으로 해석된다. 농악이나 사물놀이 중 서서 연주하는 선발의 경우 호남 농악에서는 쇠잽만 부포를 돌리고 나머지는 고깔을 쓰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으나 웃다리나 경상농악에서는 쇠잽이도 다 상모를 쓰고 돌리는 것을 같이 해야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쇠가 여럿있을 때 제일 우두머리 쇠를 상쇠라 하여 대장을 삼고 다음을 부쇠, 그 다음을 종쇠라고 부른다. 징이나 꽹과리는 주석(朱錫)과 구리(銅)를 28:72의 비율로 용해시키는데 좋은 소리나는 것을 만들려면 약간의 금과 은을 넣어야 한다. 옛날부터 우리나라의 북쪽지방은 만들기 쉬운 그릇을 많이 만들었고 남쪽 지방에서는 징이나 꽹과리 등 악기류를 만들었다. 이들을 만드는데는 여러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다음과 같다. 1) 용해 : 필요한 쇠붙이를 도가니에 넣고 용해시킨다. 2) 형틀에 넣기 : 만들고자 하는 물건과 크기에 따라 크고 작은 둥그런 모양 을 부어낸다. 3) 1차 두둠질 : 형틀에서 부어낸 것을 조금 두드려 얇게 하고 가운데가 약 간 들어가게 한다. 4) 2차 두둠질 : 3-4차례 불에 달구면서 두드려 기본 모양을 만든다. 5) 분리작업 : 아홉겹으로 두드려진 것을 하나하나 분리 시킨다. 6) 3차 두둠질 : 보다 완전한 모양을 만들고 두께를 고르게 하고 당금질을 한다. 7) 1차 소리잡이 : 평범한 소리가 나는 것을 바닥을 두드려 악기 소리가 되 도록 한다. 8) 깍음 : 깍을 곳을 깎아 다듬는다. 9) 2차 소리잡이 : 마지막으로 다시 완전한 소리가 나도록 다시 두드려 소리 를 잡는다. 10) 손잡이를 다듬는 등 상품으로 마지막 손질을 한다. 여러 과정 중 두둠질과 소리잡이가 가장 중요하다. 두께가 원하는 대로 되도록 하는것과 바닥을 두드려 좋은 소리가 나도록 하는 것은 요술 같은 일이기 때문이다. 징이나 쇠는 바닥의 가운데가 가장 두껍고 가장자리로 강수록 얇아지다가 구부려지는 데서부터 다시 두꺼워져야 한다. 이것은 가운데를 때려 생긴 울림이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다가 구부려지는 데서부터 다시 두꺼운 끝으로 가면서 다시 그 울림을 잡아 주는 역할이 되기 때문이다. 두둠질은 불에 달구면서 하는 일이기 때문에 땀을 비오듯 흘려야 하며 재미없는 일이고 수입도 좋지 않아서 점점 이 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줄어들어 그 전승이 위태하게 되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이 유기장(鍮器匠)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에 이르렀다. 1983년 6월 주물(鑄物)에 안성의 김근수(金根洙, 1916생)를, 방자(方字)에 서울의 이봉주(李鳳周, 1926생)를, 반방자(半方字)에 전남의 윤재덕(尹在德, 1914생)을 인간문화재로 지정했다. 그러나 이들 인간 문화재들은 연로(年老)하여 그 대를 물려주는 단계에 와 있다. 이제는 그 다음 세대에 기대를 걸어야 되겠다. 현재 징과 쇠를잘 만드는 사람은 인간 문화재 이봉주와 함께 일해온 김문익(金文益, 1943,경남 함양)이다. 그는 남갑진과 더불어 1978년부터 운라(雲 ) 등 전통 악기를 재현하여 보급했다. 또한 전문가용 징, 쇠를 제작하는 등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 축
축은 음악을 시작하는 데 사용되는 악기이다. 네모진 나무 상자에 윗 판에는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나무 방망이를 세워 상자 밑 바닥을 내려 친다. 윗 면적보다 밑 면적이 적어 기중선은 사선(斜線)이 된다. 나무 상자의 사면에는 산수화(山水畵)를 그리고 윗면에는 구름을 그린다. 현재 국립국악원에 있는 것은 단단하게 하기 위하여 철로 얽어 붙였다. 방망이도 지금은 그냥 길쭉한 것을 사용하지만 {악학궤범}에는 방망이 밑에 수평으로 또 하나의 나무를 대도록 되어 있는데, 지금과는 좀 다르게 쳤다. 즉 지금은 구멍을 통해 밑바닥을 그냥 세 번씩, 세 번을 내리 치지만 당시에는 처음 한 번은 그냥 내려 치면서 그 다음 두 번은 수평으로 된 막대기의 왼쪽 오른쪽을 각각 한 번씩 치기를 세 번 했다는 것이다 {악학궤범}에는 "음악을 시작할 때는 여러 악기보다 축(祝)이 먼저 시작하고 그치게 하지는 못하니 형(兄)의 도리가 있다. 이 때문에 축이 궁현(宮懸)의 동쪽에 있어 봄의 만물이 시작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하여 음향오행에서 푸른색은 동쪽을 의미함을 말하고 있다. 이 악기는 현재도 종묘 제례악과 문묘(文廟:孔子廟) 제례악에 동쪽에 놓아 사용되고 있으나 옛날에는 제례(祭禮)가 아닌 궁중의 각종 연주에도 사용 되었는데 이 때는 방대(方台) 라는 네모상자 모양의 받침대를 사용치 않고 따로 네 발이 달린 상(혹은 탁자) 위에 놓고 연주했다. 지금 쓰는 축은 윗 면적이 47cm x 47cm, 아랫면적이 38cm x 38cm 에다 높이가 38cm 이다. 오늘날 제례악에서 음악이 시작할 때는 박을 한 번 쳐 시작을 알리면 축이 "딱-딱딱"진고(晋鼓)가 한 번 쿵 하기를 세 번 한다. 박을 다시 한 번 쳐서 신호를 하면 모든 악기가 음악을 시작한다.
- 특경
특경은 중국 고대의 아악기로 편경보다 큰 황경종 하나를 가자에 매달고 제례악의 등가에서 음악이 그칠 때 쓰고 있으며, 음악을 시작할 때 쓰는 특종과 한쌍으로 대를 이루고 있다. 세종때에는 등가에 한틀, 헌가에 아홉틀이 쓰였으나 성종때에는 등가에 황종특경 한틀만이 사용되었다. 지금은 문묘제례악과 종묘제례악의 등가에 한 틀만 쓰인다. 특경의 재료는 남양의 경돌을 캐어다가 만드는데, 경돌은 가로무늬가 있거나 흠이 있으면 못쓴다. 장식은 편경과 같으나, 다만 목공작이 다섯이 아니고 셋일 뿐이다. 주법은 등가의 음악이 끝나려면 먼저 휘를 높이고, 절고를 세번 치며, 어를 절고소리에 따라 세번 긋는데, 특경은 절고의 첫소리와 끝소리에 각각 한 번 치면 박을 치고 음악을 끝낸다.
- 특종
특종은 단 한개의 종으로 된 악기로 16개의 종을 가진 편종과 연원을 같이하는 중국 고대의 타악기이다. 고려 예종 11년 (1116)에 들어온 대성아악 중에는 특종이 보이지 않으나 조선조 세종 때 박연이 아악을 정비할 무렵 황종에 맞추어 만들어 궁중 아악에 사용하여 왔다. 세종때에는 등가에 한틀, 헌가에 아홉틀을 썼다. 등가의 특종은 황종의 음이라야 하고 헌가의 9틀의 특종은 각각 9선율을 가졌다. 오늘날에는 문묘 석전의 등가에서만 사용되는 데, 악작할 때 박 다음에 특종을 한 번 치고 고축삼성 다음에 또 특종을 한번 울린다. 길이 45cm 가량의 편종보다 큰 종 하나를 종 틀에 걸어 놓고 치는데, 종은 동철과 납철을 화합하여 주조한다. 종체를 다섯으로 구분하는 데, 선, 우, 고, 정, 무로 선은 쇠의 광택으로 깨끗하게 씻은 것 같기 때문이고, 우는 선과 선사이의 굽은 소매아귀 같은 것이며, 고는 우 위의 퇴로 치는 곳이며, 정은 그 아래 고와 그 위의 무의 한 중간에 있는 것이고, 무는 소리가 여기서 진동하는 것이다. 장식은 편종과 같고 목공작은 다섯이 아니고 셋이다. 특종의 음은 황종이다. 주법은 제례악을 시작할 때 박을 치고 난 다음 특종을 한번 치고, 그 다음 축을 세번, 북을 한번 치는 것을 세번 반복하고 다시 특종을 한번 치고 나서 음악이 시작된다.
- 편경
편경은 돌로 된 가락 타악기로 고려 예종 11년 (1116) 송나라로부터 등가에 정성과 중성의 편경 각 한틀, 헌가에 정성과 중성의 편경 각 아홉틀을 들여왔고, 공민왕 때와 조선조 태종 때에도 명나라에서 들여다가 궁중제례악에 사용하였다. 그 뒤 조선 세종 7년 (1425) 경기도 남양에서 경돌이 발견되어 국내에서 제작되었다. 제도는 "ㄱ"자 모양으로 만든 16개의 경돌을 음높이의 순서대로 위,아래 두 단에 8개씩 홍승으로 매어단다. "ㄱ"자 모양으로 긴쪽을 고(鼓)라하고, 짧은 쪽을 고라하는데 고(鼓)가 고 보다 반구 더 길다. 반대로 넓은것으로 좁은 것을 가리우면, 고가 고(鼓)보다 반구 더 넓다. 경의 두께에 따라 음높이를 정하는 데, 경이 두꺼우면 소리가 높고, 얇으면 그 소리가 낮다. 경의 소리가 높으면 그 돌을 갈아서 얇게
하고 소리가 낮으면 긴 쪽의 아래 끝을 짧게 깎아 음정을 맞추는 데, 정확한 조율은 어렵다. 주법은 경을 연주할 때는 각퇴, 즉 긴 쪽의 끝의 위끝을 쳐야 하며, 지금은 아악, 속악을 가리지 않고 오른손 한 손으로 연주하나, 예전에는 아악은 황종부터 임종까지의 아랫단은 오른손으로 치고, 이칙부터 청협종까지의 윗단은 왼손으로 쳤으며, 속악의 경우는 두손으로 편한 대로 쳤다. 석경은 금성보다도 한서와 건습의 영향을 적게 받는 까닭에 모든 악기의 조율 기준이 되어 왔다. 현재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과 <낙양춘>, <보허자> 등의 연주에 쓰이고 있지만 편종과 마찬가지로 편경 역시 악기의 특수성 때문에 쉽게 제작할 수도 없고, 몇몇 연주단 이외에는 보유하고 있는 곳도 드물어 쉽게 활용할 수가 없다.
- 편종
편종은 쇠붙이로 된 가락 타악기로 고려 예종 11년 (1116)에 송나라로부터 수입되어 궁중제례악에 사용되었고, 공민왕때에도 명나라에서 보내왔으나 세종 11년 (1429) 한양에 주종소를 두고 새 종을 만들어내어 주로 아악에 사용되었다. 제도는 약 30cm미만의 길이를 가진 똑같은 크기의 종 16개가 크기에 따르지 않고 두께에 따라 고저를 다르게 하여 정성 12율과 4청성을 나무틀의 위, 아래 두단으로 된 가로목에 음높이 순에 따라 한단에 8개씩 건다.
종 틀은 좌우의 두 설주를 거라 하고, 위 아래의 두 가로목을 순이라 하며, 순 위에는 숭아가 있고, 거의 위에는 업을 얹는다. 업 위에는 깃을 꽂고, 또 단과 벽삽이 있다. 종설주는 호랑이이고, 속부의 종설주는 사자라 하였다. 주법은 종을 연주할 때는 각퇴로 종 아래 정면에 둥근 수를 치고 지금은 아악, 속악을 가리지 않고 바른손 한손으로 연주하나, 예전에는 아악은 황종부터 임종까지 아랫단은 바른손으로 치고, 이칙부터 청협종까지 윗단은 왼손으로 쳤으며, 속악의 경우는 두 손을 편한대로 쳤다. 현재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 "낙양춘", "보허자" 등의 연주에 쓰이고 있다.
현재 연주에 쓰이고 있는 편종은 16개의 종이 한틀로 구성되어 있는 것 한 종류 뿐이지만, 근래에 와서 종 20개를 한틀로 새로 만든 편종도 있다. 편종은 주로 아악 연주에 쓰이지만, 때로는 창작음악 연주에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악기의 특수성 때문에 제작절차가 어렵고, 가격이 비싸서 쉽게 구하여 사용할 수가 없다. 더구나 음정이 정확하지 못하여, 창작음악 등에 많이 쓰이지 못한다.